Cjournal
2025금융포럼
시장과머니  해외증시

뉴욕증시 프랑스 정치불안에 혼조세, 기술주 강세에 S&P와 나스닥은 신고가

류수재 기자 rsj111@businesspost.co.kr 2024-12-03 08:48:54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만 반도체를 비롯한 기술주 강세 흐름에 S&P500과 나스닥지수는 사상 최고가 기록을 새로 썼다.

현지시각으로 2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직전 거래일보다 128.65포인트(0.29%) 하락한 4만4782.00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 프랑스 정치불안에 혼조세, 기술주 강세에 S&P와 나스닥은 신고가
▲ 현지시각으로 2일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기록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 모습. <연합뉴스>

대형주 중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4.77포인트(0.24%) 오른 6047.15에,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는 185.78포인트(0.97%) 상승한 1만9403.95에 장을 종료했다. 

프랑스 정치적 혼란으로 유로존 안정성에 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유로화가 달러와 비교해 1% 약세를 보이며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기록했다. 

다만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에서 발표하는 11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가 48.4로 전월(46.5)보다 개선됐고 연방준비제도(연준) 위원이 12월 금리인하에 찬성한다고 보도되자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강세를 기록했다. 

특히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반도체 관련 중국 제재안이 예상보다 강경하지 않다는 분석에 대형 기술주와 반도체업종 주가가 강한 흐름을 나타냈다. 

엔비디아(0.27%), TSMC(5.27%), ASML(3.62%), ARM(4.51%),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4.90%), 램리서치(6.27%), 브로드컴(2.73%), AMD(3.56%), 마이크론(0.61%) 등의 주가가 상승했다. 이에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SOX)도 2.61% 올랐다. 

메타(3.22%)는 인공지능(AI) 기반 개인화가 시작됐고 인스타그램 콘텐츠 50% 이상이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따라 추천되고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주가가 상승했다. 인공지능 수익화 기대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됐다. 

아마존(1.36%) 주가는 추수감사절 연휴 온라인 판매가 늘었다는 소식에 상승했고 마이크로소프트(1.78%), 알파벳(1.46%) 주가도 올랐다. 

애플(0.95%)은 중국에서 스마트폰 보조금 지급에 포함됐다는 소식이 주가를 밀어 올렸다. 

테슬라(3.46%)는 목표주가가 상향 조정되며 주가가 상승했다. 반면 리비안(-2.94%), 루시드(-2.29%), 퀀텀스케이프(-0.57%), 리튬아메리카(-1.00%) 등 대부분 전기차 관련 가치사슬 주가는 부진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이사는 “뉴욕증시는 주요 경제지표가 예상을 상회한 결과에도 프랑스 정치 불안 여파로 대부분 종목 주가가 부진한 흐름을 나타냈다”며 “지난 주 큰 폭으로 주가가 올랐던 일부 테마주들의 차익실현 물량도 부담됐다”고 설명했다. 

서 이사는 “다만 반도체업종과 대형 기술주 주가 흐름이 강한 모습을 보여 나스닥지수가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류수재 기자

최신기사

하나증권 "스튜디오드래곤 반전의 계기는 만들었다, 내년에 재차 정상화를 기대하며"
기후솔루션 2035 감축목표 이슈 브리프, "53%는 탄소중립 경로와 불일치"
김병주-김동연 '노인 예산' 공방, 김동연 "추경으로 보완" 김병주 "변명에 불과"
[BP금융포럼 in 하노이 에필로그②] 베트남우리은행 김병진 "리테일 비중 60% 목..
[오늘의 주목주] 'AI 버블' 우려에 HD현대일렉트릭 6%대 급락, 코스닥 젬벡스 1..
중국 희토류 10월 수출 9% 증가해 4개월 만에 반등, 규제 유예 기대감 커지나
이재용 시대 연 '삼성 2인자' 정현호 용퇴, '초격차 회복' 위한 공격적 투자 경영 예고
비트코인 1억5202만 원대, JP모간 "17만 달러까지 오를 것" 낙관론 유지
IBK투자 "KT&G 담배사업부 영업이익률 27%, 부동산사업 5% 미만에 그쳐"
뉴로메카 AI 자동화 붐 타고 협동로봇 성장성 입증하나, 박종훈 흑자전환 위해 대형수주..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