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KT 40년 만에 이동통신 3위 추락하나, 김영섭 마케팅·R&D 줄여 수익 내다 가입자 지속 감소

나병현 기자 naforce@businesspost.co.kr 2024-05-22 14:01:3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KT 40년 만에 이동통신 3위 추락하나,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29741'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김영섭</a> 마케팅·R&D 줄여 수익 내다 가입자 지속 감소
▲ KT가 이동통신 3위로 떨어질 위기에 놓여 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김영섭 대표이사 사장이 이끄는 KT가 강도 높은 비용 절감을 통해 수익성을 늘리는 경영전략으로 '역풍'을 맞을 태세다.

마케팅 비용뿐만 아니라 연구개발(R&D) 비용까지 줄이는 등 이동통신 사업의 근원적 경쟁력까지 떨어져 자칫 3위 사업자로 전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984년 국내 최초 이동통신 사업자로 진출해 40년 간 한국 대표 통신 기업으로 자리해온 KT는 1994년 선경(현 SK)에 이동통신 사업을 매각한 뒤 2위 이동통신 사업자 자리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이제 1997년 이동통신 사업을 시작한 LG유플러스(구 LG텔레콤)에조차 밀려 국내 이동통신 꼴찌 사업자로 밀려나는 수모를 당할 위기에 놓였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KT가 발표한  올해 1 분기 보고서를 보면 KT는 1분기 매출 6조6546억원, 영업이익 506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 4.2% 증가한 것으로 비교적 선방한 실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KT 40년 만에 이동통신 3위 추락하나,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29741'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김영섭</a> 마케팅·R&D 줄여 수익 내다 가입자 지속 감소
김영섭 KT 대표이사 사장(사진)이 마케팅·연구개발비 등 비용을 강력히 통제하며 수익성 개선에 나서기 시작했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소폭 증가한 것은 클라우드와 기업인터넷·데이터 등 기업간(B2B) 사업이 개선된 영향도 있지만, 무엇보다 전사적 비용절감에 나선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KT는 올 1분기 마케팅 비용으로 6206억 원을 사용했는데, 이는 지난해 1분기보다 0.9% 감소하고 직전 분기에 비해선 3.7% 줄어든 수치다.

이는 올 1분기 마케팅 비용이 2.3% 증가했지만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5.1% 감소한 LG유플러스와 대조적이다. 

KT는 1분기 연구개발비도 줄였다. 회사는 1분기 R&D에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약 571억 원을 사용했다. 

반면 경쟁사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연구개발비는 각각 901억 원, 39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21.3% 각각 증가했다.

김영섭 대표는 과거 LG CNS를 이끌었던 시절에도 효율성과 비용절감을 강력히 추진해 실적을 개선했던 경험이 있는데, KT에도 같은 방식의 경영방침을 적용하고 있다는 평가다.

KT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26조3870억 원, 영업이익 1조649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9% 증가하며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통신 사업 정체로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지난해 8월 선임된 김영섭 KT 대표는 통신 사업 정체, 인공지능(AI) 등 신사업 부진 등에 따라 경영 상태를 호전시키는 게 우선이라고 보고, 강력한 비용절감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마케팅 비용 감소와 함께 KT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KT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1346만6816명으로 2월보다 9521명 줄어들었다. 이 기간 통신3사 가운데 가입자가 줄어든 곳은 KT가 유일하다.

더욱이 KT의 이동통신 가입자 감소 추세는 1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

2022년 12월 1374만6715명이었던 KT 휴대폰 가입자는 1년3개월 만에 27만9899명이 감소했다.
 
KT 40년 만에 이동통신 3위 추락하나,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29741'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김영섭</a> 마케팅·R&D 줄여 수익 내다 가입자 지속 감소
▲ KT와 LG유플러스의 휴대폰 이동통신 가입자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3위 통신사업자인 LG유플러스와 이동통신 가입자 격차도 줄어들고 있다.

올해 3월 기준 KT와 LG유플러스 이동통신 가입자 차이는 251만7709명으로, 역대 최소 수준까지 좁혀졌다.

게다가 ‘가입자 기반 단말장치’와 ‘사물인터넷(IoT)’까지 합산해서 계산하면 LG유플러스의 이동통신 가입자는 KT보다 149만1180명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된다.

물론 사물인터넷의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이동통신 대비 5% 수준으로 저렴한 만큼, 동일선상에 두고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하지만 ‘양적 성장’ 측면에서 KT가 오랫동안 지켜온 이동통신 2위 사업자 자리가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더욱이 연구개발비까지 줄이는 것은 인공지능(AI)과 같은 신사업 경쟁력을 떨어뜨려 중장기 경영 안정성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수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올해 KT는 성장보다 이익에 집중하고 있다”며 “경기 둔화로 비용 통제가 강력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나병현 기자

인기기사

SK온, '상온에서 구동'되는 리튬메탈 배터리용 고분자 전해질 개발 나병현 기자
폐분리막이 파우치로 재탄생, LG에너지솔루션 자원 선순환 프로젝트 진행 나병현 기자
채권 재태크에 몰리는 개미, 개인투자용 국채 흥행에 ETF도 인기 박혜린 기자
신세계백화점 서울 강남점 VIP 고객 ‘정조준’, 올해 VIP 매출 비중 50% 넘긴다 김예원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 AI 선두 수성 '이상 무', 음성인식 비서 개선에 힘준다 김바램 기자
윤석열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 마치고 귀국, 정진석 이상민 마중 윤휘종 기자
ASML 차세대 '하이퍼NA' EUV도 속도 낸다, AI 반도체 공급망 주역으로 부상 김용원 기자
쌍용건설과 KT 공사비 소송 본격화, 물가변동 배제특약 무효 가능성에 촉각 장상유 기자
대통령실 "상속세와 종부세 부담 대폭 완화, 금투세도 폐지가 기본 입장" 윤휘종 기자
대형제약사 너도 나도 건기식 진출, 레드오션 조짐에 자금줄 역할 물음표 장은파 기자

댓글 (4)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Scott
IoT 단말의 월 요금은 1천원 미만인 경우가 많음.
가입자 수에 포함해서 비교하면 잘못된 판단을 할 가능성이 있음
   (2024-06-07 08:27:02)
koowgnojeel
* KT 는 김영섭 대표님 오시기 전 부터 이미지가 안좋음.

* Ai 코드 대부분 외산임. 운영체제나 GPT 빌어다 쓰듯 사용하는게 맞지 않을까란?

* 김영섭 대표님 운영 방침이 맞다에 +1 표


   (2024-06-02 00:17:22)
제이캅(서양훈)
띠빠것들 ㅉㅉ   (2024-05-26 00:02:07)
Kt고객
Kt는 전문성 인사로하고 낙하산 인사로 하지먤것 그래서 발전이 없다
전문성 위주로 하되 저궤도위성통신서비스에 질을 높여야한다
비싼요금제에 다가 로밍무제한이라고 하지말고 저속이라고해라 아님 속도를 조금 올리던가
사기성 요금제 올리지말고 로밍 무제한을 삭제해라 로밍 질 떨러져서 고객들 이탈한다
   (2024-05-24 23:0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