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의 일자리 창출능력이 생산성 향상과 외국인노동자 유입 등에 따라 과거보다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토교통부가 국토연구원에 의뢰해 작성한 ‘국토교통 분야 산업·직업별 고용현황 조사 및 분석’ 보고서를 보면 건설업계의 고용계수는 2006년 10.7명에서 2014년 5.9명으로 44.9% 떨어졌다.
|
|
|
▲ 국내 건설사의 건설 현장. |
고용계수는 산업에서 10억 원 규모의 산출물을 만드는 데 투입되는 상용·임시노동자 숫자를 말한다. 고용계수가 5.9명이면 10억 원을 생산할 때 노동자가 5.9명 필요했다는 것이다.
건설업 고용유발계수도 2006년 15.2명에서 재작년 10.2명으로 32.8% 줄었다. 고용유발계수는 해당 산업에서 10억 원 규모의 산출물을 생산할 때 해당산업을 포함한 전 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투입되는 노동자 숫자를 의미한다.
건설업계의 생산성이 과거와 비교해 향상돼 건설업계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굴착기나 크레인과 같은 건설기계 활용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같은 규모의 공사에 필요한 노동자가 과거보다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경기침체와 외국인노동자가 늘어난 것도 건설업계의 일자리 창출 능력이 줄어든 배경으로 꼽힌다.
국토연구원은 “건설업은 정부정책과 경기에 따라 변동성이 크다”면서 “건설업계 취업자 수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0년 유럽재정위기 등 경기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아왔다”고 설명했다.
국토연구원은 “저가수주와 불법하도급 등으로 (건설업에 종사하는) 내국인노동자는 감소했고 불법취업한 외국인노동자는 늘어나 건설업 고용통계의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불법체류 외국인노동자들이 건설업계 일자리를 차지하면서 통계상 건설업 고용계수가 낮아졌다는 것이다.
국토연구원은 건설업계의 일자리 창출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가 발주하는 대규모 공사를 주된 먹거리로 삼아온 건설사들이 시설물·주택 유지보수 등 새롭게 떠오르는 분야에 진출해 근본적으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토연구원은 “국내건설시장은 1990년대 초고속성장과 1990년대 말 성숙기를 거쳐 현재 건설투자가 정체한 상태”라며 “국내건설시장은 2020년 선진국형 시장으로 전환되기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토연구원은 “기존 시설물·주택 유지보수 수요가 2020년 이후 급증할 것으로 판단되고 저비용 주택 리모델링 시장도 성장할 것”이라며 “공공·주택 신축시장이 축소되고 주택시장은 ‘고객 맞춤형 소량공급’ 형태로 바뀔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