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장과머니  증시시황·전망

코스피 나스닥 급락 여파로 장중 2310선 내림세, 코스닥 3% 가까이 하락

정희경 기자 huiky@businesspost.co.kr 2023-10-26 11:35:2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장중 나란히 2%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26일 오전 11시29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51.80포인트(2.19%) 낮은 2311.37을 기록하고 있다. 
 
코스피 나스닥 급락 여파로 장중 2310선 내림세, 코스닥 3% 가까이 하락
▲ 26일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가 장중 2%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 <연합뉴스>

이날 지수는 전날보다 37.35포인트(1.58%) 하락한 2325.82에 장을 시작한 뒤 장중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날 3분기 실적시즌을 지나고 있는 미국 뉴욕증시가 알파벳 등 빅테크 중심으로 급락 마감하면서 국내증시에 충격을 미쳤다. 

현지시각으로 25일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0.32%),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1.43%), 나스닥지수(-2.43%) 주가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투자자별로 살펴보면 외국인투자자가 3603억 원어치를 순매도하면서 약세를 이끌고 있다. 개인투자자가 2079억 원어치, 기관투자자가 1468억 원어치를 순매수하고 있다. 

코스피시장에 상장한 종목 가운데 삼성출판사(29.95%)의 주가가 상한가까지 올랐다. 더핑크퐁컴퍼니의 ‘베베핀’이 넷플릭스 아동애니 부문에서 1위에 올랐다는 소식이 영향을 미쳤다. 

대유에이텍(19.11%), SNT다이내믹스(18.09%), 제일파마홀딩스(10.66%) 등 주가도 10% 이상 오르고 있다. 

이날 거래를 재개한 영풍제지(-29.94%), 대양금속(-30.0%) 주가는 장 시작과 동시에 하한가까지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을 살펴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1.80%)를 제외한 9개 종목 주가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SK하이닉스(-3.76%), 포스코(POSCO)홀딩스(-3.59%), LG화학(-5.13%), 네이버(NAVER)(-3.38%) 등 주가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내리고 있다. 

삼성전자(-1.62%), LG에너지솔루션(-0.98%), 삼성전자우(-1.46%), 현대차(-1.37%), 기아(-1.22%) 주가도 내림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도 3% 가까이 내리고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22.88포인트(2.97%) 낮은 747.96을 기록하고 있다. 

외국인투자자가 246억 원어치, 기관투자자가 142억 원어치를 순매도하고 있다. 개인투자자는 436억 원어치를 순매수하고 있다. 

이날 상장한 워트(65.38%) 주가가 60% 이상 급등하고 있다. 멕아이씨에스(27.42%), 한주라이트메탈(23.47%), 마니커에프앤지(22.27%), 밀리의서재(16.80%), 우리바이오(16.77%) 등 주가도 10% 이상 급등하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주가가 대체로 내리고 있다. 

에코프로비엠(-5.63%), 에코프로(-6.23%), 포스코DX(-6.72%), 엘앤에프(-3.41%) 등 2차전지 관련 주가가 상대적으로 크게 내리고 있다. HPSP(-10.03%) 주가도 10%대 내림세다. 

셀트리온헬스케어(-1.05%), HLB(-0.69%), JYP엔터테인먼트(-5.71%) 주가도 내리고 있다. 반면 펄어비스(0.21%), 알테오젠(6.20%) 주가는 상승하고 있다. 정희경 기자
 

최신기사

엔비디아 트럼프 정부 신뢰 어렵다, AI 반도체 중국 수출 되찾아도 '불안' 여전
오세훈 "공공주택 진흥기금으로 주택공급 속도, 소비쿠폰은 '하책 중의 하책'"
롯데물산에 'SOS' 치는 롯데그룹, 장재훈 '버팀목' 역할 위해 임대사업 담금질
두산건설 지방 완판 행진 속 '일산 악몽'도 뒤로, 이정환 시평 순위 상승세 타나
신성통상 상장폐지 수순 밟다, 염태순 3천억 '현금 인출' 파란불 시나리오
대한전선, 해저케이블 2공장 1단계 건설에 4972억 투자 확정
테슬라 보유 비트코인 가치 14억 달러 육박, "불필요한 리스크" 비판도 나와
HS효성 조현상, 베트남 끄엉 주석에 'APEC CEO 서밋' 기조 연설 요청
구글 웨이모 주행거리 반년 만에 2배 증가, 테슬라 로보택시 등장에 '가속도'
삼성전자 인텔 투자 위축으로 ASML 실적 타격, AI 반도체 호황에도 '먹구름'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