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핀다 "올해 상반기 창업 11.2% 증가", 창업비용 베이커리 3억 최다

조윤호 기자 uknow@businesspost.co.kr 2023-08-07 11:23:3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대출 핀테크 기업 핀다가 국내 자영업 상권 분석 결과를 내놨다. 

핀다는 상권 분석 플랫폼 '오픈업'을 통해 2023 상반기 자영업 창업 보고서를 7일 공개했다.
 
핀다 "올해 상반기 창업 11.2% 증가", 창업비용 베이커리 3억 최다
▲ 대출 핀테크 기업 핀다가 7일 자사의 상권 분석 플랫폼 오픈업을 통해 국내 자영업 상황에 관한 보고서를 내놨다. 사진은 핀다 사무실 내부. <핀다>

핀다에 따르면 2023년 상반기 창업 건수는 23만6820건으로 2022년 상반기(21만2939건)보다 약 11.2% 증가했고 폐업 건수는 (19만9228건) 약 9.0% 증가한 21만7214건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오프라인에서 영업하는 매장 수는 지난해 상반기(191만5873곳)와 비교해 약 3.75% 증가한 198만7777곳이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영업 매장 수는 외식업(82만1742곳), 소매(49만5384곳), 서비스(28만9672곳) 업종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영업 매장 증가율은 노래방, 헬스장 등이 포함된 오락(6.48%) 업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서비스(5.53%), 교육(5.50%) 업종이 상위권을 이어갔다. 

창업 증가율로는 교육(22.20%), 서비스(16.58%), 외식업(11.61%)이 1~3위를 기록했다.

전체 업종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외식업에서는 영업 매장 규모 면에서는 한식(36만3038곳)이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고 카페(9만1034곳), 분식·국수(5만6133곳) 업종이 뒤를 이었다.

영업 매장 증가율은 카페(10.19%), 퓨전세계요리(9.21%), 일식(9.13%) 순으로 높았고 창업 증가율로 보면 중식(18.55%), 기타음식점(17.74%), 한식(13.96%)이 인기를 끌었다.

핀다는 상반기 외식업 프랜차이즈 평균 창업비용도 함께 공개했다. 

핀다는 프랜차이즈 창업 비용을 매장의 첫 달 임대료 및 보증금(월 임대료x10개월)과 프랜차이즈 가입비, 교육비, 보증금, 기타 비용, 인테리어 비용을 합산해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평균 창업비용이 높은 업종은 베이커리(2억9415만 원), 버거전문점(2억1958만 원), 국물요리(2억1143만 원)였고 평균 면적이 가장 넓은 업종은 국물요리(128.79㎡), 고기구이(122.28㎡), 베이커리(112.86㎡)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평균 창업비용이 낮은 업종은 피자전문점(1억306만 원), 치킨·닭강정(1억1768만 원), 카페(1억2394만 원)였고 평균 면적이 가장 좁은 업종은 피자전문점(44.62㎡), 카페(52.57㎡), 치킨·닭강정(57.17㎡) 순이었다.

황창희 핀다 오픈업 프로덕트오너는 “프랜차이즈 창업을 고려하는 예비 사업자는 오픈업 외식업 창업 계산기를 활용해 예상 창업비용을 미리 알아볼 수 있다”며 “초기 폐업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창업 전부터 오픈업과 같은 데이터 기반의 상권분석에 공들이며 신중하게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윤호 기자

최신기사

국가전산망 장애 담당 공무원 투신 사망, 경찰 "조사 대상 아니었다"
르노코리아, 10월 한 달 동안 전기SUV에 특별 구매지원금 250만 원 지급
티웨이항공 프랑크푸르트 취항 1주년, 운항 530편에 10만 명 탑승
애플 비전프로 개편 잠정 중단, 메타 대항할 스마트글라스 개발에 속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4일 체포적부심 진행
머스크 X 인수 관련 소송 이관 시도 실패, 법원 "제출된 사유 인정 어려워"
LG전자 조주완 부산대에서 산학협력 30주년 특강, "성공 아닌 성장 중요"
해외언론 "트럼프 의약품 관세 시행 무기한 연기, 준비 작업은 진행 중"
삼성전자 내년 임직원 외국어 평가 인센티브 시행, 최대 100만 원 상품권 지급
금융 노사 임금 3.1% 인상 잠정 합의, 주4.5일제 도입 TF도 구성하기로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