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다음주에 기준금리를 두고 매파적 발언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은은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동결 가능성이 지배적이다. 다만 최근 미국 기준금리 인상론이 힘을 얻으면서 역대 최대인 한미 기준금리차가 더 벌어질 수도 있다. 이에 4월에 매파적 발언을 쏟아냈던 이 총재 발언수위에도 이목이 쏠린다.
▲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론이 힘을 얻으면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다음주에 기준금리를 두고 매파적 발언을 이어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사진은 이 총재가 4월11일 금통위 이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는 모습. <한국은행>
19일 미국 시카고 상품거래소 페드워치(CME FedWatch)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Fed) 6월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오른 5.25~5.50%수준으로 인상할 확률은 33.3%(오후 1시 기준)다. 5월 FOMC 직후(8.5%)의 4배 가까이 뛰었다.
미국 지역 연방은행 총재들의 매파적 발언이 수치 급등을 이끌었다. 12개 지역 연은 총재들은 돌아가면서 FOMC에서 기준금리 결정에 참여한다.
가장 최근에는 미국 연준에서 중도파로 평가받는 인사도 매파적 발언을 내놨다.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는 현지시각으로 18일 텍사스은행연합회 컨퍼런스에서 “앞으로 몇 주 안에 (금리인상을) 한 번 건너뛰는 게 적절하다는 데이터를 받아볼 수도 있다”며 “다만 우리는 아직 오늘까지 그 지점에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미국 연준이 5월 FOMC 성명서에서 기준금리 인상흐름 중단 가능성을 시사했던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미국 경제가 지표상으로는 아직 과열상태에 있다는 점이 이 같은 발언을 이끈 것으로 보인다.
현지시각으로 12일 발표된 미국 미시건대학교 1년 기대인플레이션율은 4.5%로 시장예상인 4.4%를 웃돌았다. 앞서 5일 발표된 4월 실업률은 3.4%로 3월보다 오히려 0.1%포인트 떨어졌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은 지표만 보면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미 양국 사이 역대 최대 기준금리차(1.75%포인트)를 맞은 한국은행에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한은은 올해 초 미국보다 먼저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았다. 이에 따라 환율상승 등 여러 요건을 대비해 미리 올렸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 적도 있다.
최근 공공요금 인상이 결정된 점도 한은의 선제적 금리인상을 고려하게끔 하는 요인이다. 공공요금 상승은 물가도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17일 서울시 의회에 따르면 서울 교통공사는 지하철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 15일에는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전기요금을 키로와트시(kWh)당 8원, 도시가스 요금을 메가줄(MJ)당 1.04원 인상하는 방안을 발표했다.
다만 한국은행이 5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우선 과제는 물가’라는 점을 늘 강조했는데 물가 상승률이 최근 둔화하고 있어서다.
4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7%로 3월보다 0.5%포인트 내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5.0%)부터 올해 1월(5.2%)까지 5%대를 이어가다 2월(4.8%)부터 4%대로 내려앉은 뒤 오름세가 더뎌지고 있다.
결국 국가 안팎의 상황이 다른 셈이다. 시장은 이에 따라 25일 금통위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아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수위에는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4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매파적 발언을 쏟아냈다. 5월 초에는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금리정책 전환(Pivot)을 이야기하기에는 아직 이르다(Premature)고 말했다.
시장도 이 총재가 매파적 발언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5월 금통위에서 한은은 지난달에 이어 만장일치로 동결을 결정할 것이다”며 “시장에서는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지만 이번 금통위에서도 이전과 마찬가지로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배제할 것이다”고 분석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은 3.5%로 기준금리 동결을 두고는 만장일치 의견이 나올 것이다”며 “다만 3.75%로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두는 위원들이 여전히 있다고 언급하는 등 매파적 태도는 유지할 것이다”고 바라봤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