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2025금융포럼
인사이트  기자의 눈

동네 커피집들의 '간판갈이'

임수정 기자 imcrystal@businesspost.co.kr 2014-01-29 15:28:3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동네 커피집들의 '간판갈이'  
▲ 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가 커피 적합업종 신청에 늑장을 부리는 사이 향후 출점제한을 우려한 대기업들은 ‘간판갈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몇 주 전, 집 근처 ‘동네 커피집’이 문을 닫고 내부공사에 들어갔다. 그 앞을 오갈 때 보면 장사가 꽤 잘되는 편이라고 생각되는 커피집이었다.  갑작스런 공사에 새단장을 하는 것인지, 다른 업종의 가게가 들어오는 것인지 궁금해졌다. 그러나 예상은 빗나갔다. 공사를 마친 커피집은 대기업이 운영하는 커피전문점으로 변해있었다.

동네 커피집들이 '간판갈이'를 하고 있다. 대기업이 운영하는 커피전문점 간판으로 속속 바꿔달고 있다.

지난해 5월 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이하 중앙회)는 커피전문점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신청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대기업으로부터 골목 상권을 지키겠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중앙회는 여전히 신청서를 내지 않고 있다. 중앙회가 이렇게 시간을 벌어주는 사이에, 대기업이 운영하는 커피전문점은 향후 출점제한을 우려해 골목 커피집을 하나둘씩 잡아먹고 갈판갈이에 열을 올리고 있다.

대기업들은 인테리어를 무상으로 제공하거나 현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중소기업 커피전문점의 가맹점주를 빼앗는다. 또한 점포 임대인에게 높은 임대료를 제안해 임차인을 내쫓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점포 주변 임대료까지 끌어올리는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하다. 목이 좋은 곳이라면 웃돈을 줘서라도 점포 사재기를 하고 있는 대기업들에게 중소 커피전문점은 물론이고 동네 커피집들은 버틸 힘이 없을 것이다.

중앙회는 적합업종 신청의 지연에 대해 “신청이 늦어진 것은 적합업종이 지정되면 통상문제 때문에 규제를 안받는 외국계만 좋은 일 시키고, 국내업체만 죽이는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라며 “동반위도 이 문제에 대해 답변은 안 해주니 계속 심사숙고해 검토 중”이라고 했다. 그 책임을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에 책임을 전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동반위 관계자는 “외국기업 규제 문제는 지난번 외식업 적합업종 지정 때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같은 외국업체가 규제 대상으로 포함돼 더 이상 논란의 여지조차 없다”고 일축했다. 동반위 측의 말을 들어보면 중앙회의 변명은 못미더운 구석이 있다.


적합업종 지정은 중앙회가 동반위에 신청서를 내면 이후 동반위 측에서 실태조사,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조정협의체, 실무위원회를 거쳐 최종 심의과정을 거치게 된다. 중앙회에서는 신청서만 내면 되는 아주 간단한 일인 것이다.

중앙회가 적합업종 신청에 늑장을 부리는 까닭이 정말 궁금해진다. 골목 상권을 보호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던 때와는 사뭇 태도가 달라졌다. 스스로 권리를 찾지 못하면 아무도 보호해 주지 않는다. 이래저래 동네 커피점만 죽어난다.


 

최신기사

미래에셋증권 "녹십자, 알리글로 처방 확대와 자회사 적자 폭 감소되면 주가 상승세로"
개인정보분쟁조정위, SK텔레콤 조정신청 4천여명 1인당 30만원 배상 결정
대신증권 "SK바이오사이언스 수익성 회복세 지속, PCV21가 임상 순항중"
한화투자 "한섬 국내 패션 부진, 4분기부터 본격화될 턴어라운드"
한미반도체, 차세대 HBM용 '와이드 TC 본더' 내년 하반기 출시
삼성SDI-GM 미국 배터리 합작공장 노동자 일부 해고, "제품 다변화로 건설 지연"
[현장] HJ중공업 '한국 조선 1번지' 명성 되찾는다, 유상철 "올해 이어 내년 흑자..
DS투자 "하이브, 4분기 신규 게임 런칭 비용 등 영업이익 눈높이 낮출 필요"
비트코인 시세 9만 달러대로 하락 가능성, "당분간 조정구간 지속 신호"
DS투자 "KT&G 해외 일반 담배 실적 성장, 주당배당금 600원 이상 증액"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