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정치

중국 국가주석 지낸 장쩌민 사망, 향년 96세

김지효 기자 kjihyo@businesspost.co.kr 2022-11-30 19:49:2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사망했다. 향년 96세.

중국 신화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장 전 주석은 중국 상하이에서 백혈병 치료를 받다가 합병증으로 현지시각 30일 낮 12시13분경 세상을 떠났다. 
 
중국 국가주석 지낸 장쩌민 사망, 향년 96세
▲ 30일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이 사망했다. 향년 96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국무원 등은 공동발표를 통해 장 전 주석이 백혈병으로 장기 기능이 쇠약해져 숨졌다고 밝혔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장쩌민 동지의 서거는 당과 군, 각 민족 인민에게 헤아릴 수 없는 손실이다"며 "당 중앙은 슬픔을 힘으로 바꾸고 동지의 유지를 계승하며 실제 행동으로 애도를 표하기를 호소한다"고 말했다.

장 전 주석은 중국의 제3대 최고 지도자로 중국공산당 최고직인 국가주석과 중국공산당 총서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겸임했다.

1989년 톈안먼 사태를 계기로 덩샤오핑에게 발탁돼 1989년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맡았으며 1993년에는 국가주석에 올라 2003년까지 재임하면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었다. 

국가주석에 오른 뒤 당·정·군의 모든 권력을 쥔 최고지도자로 정치, 경제, 외교에서 다양한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2008년 베이징 하계올림픽 유치,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1999년 마카오 반환, 1997년 홍콩 반환 등이 대표 성과로 꼽힌다. 

장 전 주석은 주석에서 물러난 뒤에도 ‘상하이방(상하이 출신 정재계 인맥)’ 원로로 정계에 개입했다. 하지만 시진핑 주석 집권 이후 상하이방은 정치적 입지가 약화했다.

장 전 주석은 올해 10월16일 열린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그가 마지막으로 공개 석상에 나온 것은 2019년 국경일 70주년 기념행사 때다. 그는 당시 후진타오 전 주석과 함께 연단에 섰다. 김지효 기자

최신기사

SMIC 중국산 노광 장비로 'ASML 의존 낮추기' 총력, AI 반도체 생산 목표
서울시 '우이신설 연장선' 사업 본격화, HL디앤아이한라와 공사계약 맺어
비트코인 시세 4분기 급등 가능성, 가격 변동성 하락은 "폭발적 상승 동력"
국회 과방위 24일 통신사 해킹 청문회, KT 소액결제 피해·LG유플러스 해킹 의혹 다뤄
자녀의 '대치동 유학' 고민하는 학부모를 위한 도서, '대치동 학원의 비밀' 출간
민주당 정준호 "철근 누락 업체 'LH 사업' 186건 재수주, 제재 실효성 높여야"
미국 정부의 인텔 지원 오히려 역효과 전망, TSMC 투자전략도 불확실성 키워
HUG 소득·자산 제한 없는 든든전세주택 입주자 모집, 연말까지 1400호
[조원씨앤아이] 이동통신사 보안 '3사 모두 취약' 33%, SKT 28% KT 18%
셀트리온 자사주 1천억 추가 매입하기로, 올해 누적으로 8500억 사들여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