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금융정책

5대 금융지주 작년 이자수익 45조, 양정숙 "비이자 역량 강화해야"

이한재 기자 piekielny@businesspost.co.kr 2022-10-03 12:06:0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NH농협금융지주 등 국내 5대 금융지주가 지난해 이자수익으로 44조9천억 원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5대 금융지주들은 수익의 대부분을 예대마진(예금과 대출금리 차이)을 통한 이자수익으로 거둬 들여 금융투자수익 등 비이자수익 비중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5대 금융지주 작년 이자수익 45조, 양정숙 "비이자 역량 강화해야"
▲ 5대 금융지주가 지난해 이자수익으로 44조9천억 원을 거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국내 금융지주회사 수익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5대 금융지주는 2021년 이자수익으로 44조9천억 원, 비이자수익으로 9조5천억 원을 올렸다.

이자수익이 비이자수익보다 5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미국 금융지주인 제이피모건체이스(JPMorgan Chase)가 2021년 전체 금융수익 가운데 57%를 비이자수익(Noninterest revenue)으로, 43%를 이자수익으로 번 것과 비교되는 결과다.

NH농협금융지주가 5대 금융지주 가운데 이자수익과 비이자수익 비중 차이가 가장 큰 곳으로 조사됐다.

NH농협금융지주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6년 동안 이자수익으로 46조3천억 원으로 올리는 동안 비이자사업에서는 3천억 원 손실을 봤다.

우리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도 이자수익이 비이자수익보다 5배 이상 많아 상대적으로 이자수익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 의원은 “그동안 국내 금융회사들은 ‘우물 안 개구리’처럼 예대마진을 통해 손쉬운 이자이익을 올리는 데만 집중하고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며 “국내 금융지주가 미국의 제이피모건체이스 같은 세계적 금융지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비이자수익 부분에 대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당국도 2016년 ‘초대형 투자은행 육성방안’을 발표한 뒤 국내 금융지주의 경제력 강화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던 것 같다”며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금융지주의 예대마진 수익 편중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금융당국에 촉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한재 기자

최신기사

정통 제조업 강자 유진그룹, 리츠 진출로 디벨로퍼 대전환 시동
비트코인 시세 "금값 대비 저평가" 시각 힘 얻어, 자금 유동성 확대로 청신호
한양증권 "바이오플러스 HA필러에 신사업 날개 달다, 신공장 1분기 준공"
iM뱅크 상반기 신입행원 공개채용 실시, 30일까지 서류접수
테슬라 로보택시에 기업가치 의존 심화, 일론 머스크 '양치기 소년' 오명 벗나
LIG넥스원 내부 성과급 불만 진화 시도, 자사주 159억 격려금으로 지급 결정
LG전자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대거 수상, '이동형 AI홈 허브'는 2관왕
검찰 미래에셋증권 KB증권 압수수색, 고려아연 유상증자 관련
삼성디스플레이 OLED, LCD보다 평균 1.5배 밝게 느껴져
모간스탠리 "미국 관세 영향에 하반기 메모리반도체 수요 감소할 것"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