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콘텐츠업계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상향해야 선순환 생태계 가능"

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 2022-08-22 11:05:2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콘텐츠업계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상향해야 선순환 생태계 가능"
▲ 김용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가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영상콘텐츠 세제지원제도 개선방향'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오픈루트>
[비즈니스포스트] 콘텐츠업계가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비율의 상향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한국애니메이션제작자협회, 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 한국방송협회 등 5개 단체는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영상콘텐츠 세제지원 제도 개선 방향 세미나’에서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비율을 대기업 10%, 중견기업 22.5%, 중소기업 23.8%로 상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획재정부의 세제개편안에 영상콘텐츠 제작비 관련 세액공제가 3년 동안 일몰연장됐고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도 세제지원 대상에 포함됐다”며 “다만 공제비율이 해외에 비해 낮아 글로벌 미디어기업과의 투자경쟁을 감당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현행 제작비 세액공제 비율은 대기업 3%, 중견기업 7%, 중소기업 10%이다.

김용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는 “세제지원 제도 개선을 통해 투자금 확대로 인한 콘텐츠 제작 활성화, 국내 콘텐츠의 해외 수출 확대 및 한류 확산, 콘텐츠 산업 기반 강화로 고용창출 확대, 콘텐츠 수출 증가 따른 IT·패션 등 연관산업 활성화, 콘텐츠 산업 선순환 생태계 조성 등의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세액공제율을 대기업 7%, 중견기업 13%, 중소기업 18%로 상향조정했을 때 4년 동안 얻을 수 있는 경제효과를 추정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생산유발효과는 △방송 1조790억 원 △영화 3842억 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2835억 원이다.

또한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방송 4302억 원 △영화 1532억 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1130억 원이고, 취업유발효과는 △방송 5772명 △영화 2037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1503명으로 집계됐다.

백승일 한국방송채널진흥협회 사무처장은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율 상향이 신작이나 차기 시즌에 대한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이뤄진다면 대한민국 콘텐츠 산업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최신기사

대우건설 국내 원전 강자에서 이제 해외로, 정원주 '해외 영업사원 1호' 자처하고 뛴다
대우건설 가덕도신공항 건설 주관사 맡을까, 정원주 이해득실 따져봐도 고심 깊다
중흥건설의 대우건설 '독립경영' 끝낸 첫해, 오너 일가 김보현 체제의 강점과 약점
iM증권 실적 반등 일회성 아니다, 성무용 증권업 경험 없는 CEO 어떻게 장점 됐나
[씨저널] iM뱅크 행장 겸임 지주 회장 황병우, '전국구 은행' 목표 영광도 리스크도..
황병우 iM금융지주 지배구조 흠 잡을 곳 없이 바꿔, 비상장 계열사 이사회 다양성 남았다
[채널Who] 황병우 iM금융지주 지배구조 선진적으로, 전국구 금융그룹 가는 마중물
공정위 아시아나항공 현장조사, '좌석 유지' 기업결합 조건 위반 혐의
고려아연 "액트와 자문 계약 체결했을 뿐, 영풍 주장은 일방적 왜곡"
GS건설 청계리버뷰자이 건설현장 사망사고 사과, 허윤홍 "전사적 특별 점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