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시민과경제  시민단체

금융소비자보호재단 "2명 중 1명 금융사기에 노출, 예방교육 필요"

차화영 기자 chy@businesspost.co.kr 2022-06-22 16:56:2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최근 3년 동안 금융소비자 2명 중 1명은 금융사기에 노출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22일 ‘2022년 금융사기 현황 조사’를 발표했다. 
 
금융소비자보호재단 "2명 중 1명 금융사기에 노출, 예방교육 필요"
▲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22일 ‘2022년 금융사기 현황 조사’를 발표했다.

조사는 올해 2월17일부터 3월2일까지 만 18~69세 성인 남녀 2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최근 3년 동안 실제로 피해를 봤는지와 관계없이 금융사기에 노출된 적이 있다고 대답한 사람은 48% 비중을 보였다. 

평균 노출 횟수는 약 7.5회로 조사됐다. 

금융사기로 금전적 피해를 봤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3%였다. 평균 피해금액은 2141만 원으로 집계됐다. 

피해금액은 100만 원 이상 1천만 원 미만(22.6%)이 22.6%로 가장 많았다. 1천만 원 이상 3천만 원 미만은 20.2%였다.

연령대별 평균 피해금액은 40대가 3963만 원으로 가장 컸다. 50대 2475만 원, 60대 1841만 원, 30대 1775만 원, 20대 1295만원 등 순이었다.

금전적 피해를 본 응답자의 25.8%만 피해 금액 전부를 회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절반이 넘는 54.5%는 피해 금액을 전혀 회수하지 못했으며 19.7%는 일부만 회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사기 유형으로는 투자정보를 알려주겠다며 ‘리딩방’이나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을 통해 접근하는 불법 유사투자자문업 형태가 24.5%로 가장 많았다. 정부 지원 빙자 사기(18.8%), 범죄 연루 연락, 구매하지 않은 물건의 대금 결제 등은 각각 14.1%로 집계됐다.

금융사기 노출 경로(복수응답)로는 문자 메시지와 카카오톡이 70.4%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전화(38.7%), SNS(7.9%), 이메일(5.8%)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사기 피해자의 40.5%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고 대답했다. 스트레스, 자신감 하락, 우울감 등 심리적 어려움을 겪었다는 피해자는 83.3%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관계자는 “금융사기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어 금융사기 예방교육과 정보 제공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사기 피해자들이 경제적 어려움뿐 아니라 심리적 어려움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이들을 위한 지원 방안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차화영 기자

최신기사

대통령 관저 체포 직전 국힘 의원들 만난 윤석열 "2년 반 더 해서 뭐하겠나"
[전문] '내란 우두머리 혐의' 체포된 윤석열, '국민께 드리는 글' 공개
윤석열 미리 써 둔 자필 편지 공개, "계엄은 범죄 아니고 국민 호소였을 뿐"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석열 오후 조사도 진술 거부, 저녁은 된장찌개 골라
[현장] KOICA와 청년중기봉사단 선후배 만남의 장, 뜨거운 봉사 열정 나눠
SK온과 포드 북미 합작사 블루오벌SK 또 유상감자, 총 34억 달러 규모  
키움증권 "종근당 기술이전 CKD-510 놓고 노바티스 임상 설계에 신중 접근"
MG손보 노조 반대로 매각 무산 위기, 금융당국 청산 가능성 검토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정용진 이마트 사내이사 취임하고 차입금도 줄여야"
LG디스플레이 작년 영업손실 5606억 내 규모 줄여, 4분기는 흑자전환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