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2025금융포럼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통합 미래에셋대우 시너지, 화학적 결합이 관건"

이규연 기자 nuevacarta@businesspost.co.kr 2016-05-16 18:11:4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통합 미래에셋대우가 강력한 합병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미래에셋대우(옛 대우증권)와 미래에셋증권 임직원의 화학적 결합을 조속히 이뤄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김지영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16일 “미래에셋증권과 미래에셋대우는 합병을 통해 향후 주식위탁매매(브로커리지)와 자산관리(WM)의 균형을 통해 수익을 다변화할 것”이라며 “자기자본을 활용한 투자금융(IB) 업무 활성화 등 시너지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통합 미래에셋대우 시너지, 화학적 결합이 관건"  
▲ 박현주 미래에셋대우 회장.
미래에셋대우는 지난해에 주식위탁매매 시장점유율 8%로 증권업계 3위를 차지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연금자산 6조2천억 원을 돌파하는 등 자산관리에 강하다.

통합 미래에셋대우는 자기자본 5조8천억 원을 토대로 기업신용공여, 예탁증권 담보대출, 자기자본 직접투자(PI) 등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 투자금융 업무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서보익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통합 미래에셋대우는 국내 유일의 초대형 종합금융투자사업자로서 독점적 지위를 누릴 것”이라며 “자본 조달과 차입투자(레버리지) 활용도 손쉬워지고 해외진출도 전략적으로 차별화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통합 미래에셋대우가 합병 시너지를 내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할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찮다.

강승건 대신증권 연구원은 “통합 미래에셋대우는 인력 구조조정 대신 재배치를 통해 효율성을 끌어올리려 한다”며 “합병 이후 생길 수 있는 초기비용 부담이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박 회장은 대우증권 인수를 확정한 뒤 인력감축은 없다고 여러 차례 공언해 왔다. 홍성국 미래에셋대우 사장도 4월 말 “미래에셋증권과 합병에 따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조만간 새 점포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통합 미래에셋대우는 출범 직후 레버리지비율 1000%를 웃도는 등 구조조정 없는 비용절감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옛 대우증권과 미래에셋증권 직원들의 화학적 결합을 빨리 이끌어내 업무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최대 관건”이라고 말했다.

미래에셋대우와 미래에셋증권은 기업문화, 의사결정, 수익구조 등에서 전반적으로 차이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체 임금 수준도 미래에셋대우가 더 높아 화학적 결합이 용이하지 않을 것으로 점쳐진다.

미래에셋대우 노동조합은 인력 구조조정의 가능성을 여전히 우려하고 있는데 이도 불안요소가 될 수 있다.

이자용 미래에셋대우 노조위원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고용안정에 대한 불안감이 직원들 사이에 계속 남아있다”며 “박 회장이 홍 사장에게 미래에셋대우 직원과 소통을 위임한 점을 감안해 16일부터 진행되는 임금단체협상에서 직원들의 입장을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은 5월 초 미래에셋대우 직원들을 만나 “구조조정에 대한 불안감을 이해하지만 그럴 일은 절대 없다”며 “연금저축 분야의 역량을 확충해야 하는데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말했다.

박 회장은 최근 통합 미래에셋대우의 출범을 ‘창업’으로 표현했는데 통합 미래에셋대우의 화학적 결합을 이끌어내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박 회장은 “미래에셋대우 직원들에게 ‘미래에셋’을 덧씌우려는 것이 아니라 ‘통합 미래에셋대우를 창업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회장이 위원장을 맡은 미래에셋대우-미래에셋증권 통합지휘체의 이름도 ‘창업추진위원회’로 결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최신기사

'제조업 지표 부진' 뉴욕증시 M7 주가 엇갈려, 테슬라는 2%대 상승
다올투자" 종근당 4분기 수익성 악화 예상, 저마진 품목 비중 확대·R&D 비용 증가"
한화투자 "한섬 4분기 기점으로 반등 예상, 백화점 회복과 궤 같이 해"
iM증권 "SK가스 목표주가 상향, 국내 LNG 가치사슬 내 확장 기대"
[씨저널] 한진그룹 80년 쌓은 '유산' 돌아본 조원태 "헤리티지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KAI 임원 선임 불투명하고 내부 신뢰 못 얻는 결과 낳아, 이재명 정부 상장기업답게 ..
KAI 사장 강구영 중도하차로 민영화 논의 불거져, 실용주의 이재명 정부의 선택 주목
KAI 방산 수출 모멘텀 누리지 못해, 차재병 직무대행 체제 '리더십 공백' 길어져 걱..
[현장] 삼양식품 불닭 이어 원조로 온다, 김정수 36년 만에 '우지라면' 점유율 회복..
해외 매출 늘면 수익성 줄어드는 야놀자, 부킹닷컴 수수료에 발목잡힌 제휴사업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