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국민의힘 의원 윤창현 "금융사고 금액 5년간 1600억, 일벌백계해야"

김디모데 기자 Timothy@businesspost.co.kr 2021-09-28 11:09:4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최근 5년 동안 은행에서 발생한 금융사고 금액이 1600억 원을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5대 시중은행이 전체 금융사고건수의 3분의2 가량을 차지했다.
 
국민의힘 의원 윤창현 "금융사고 금액 5년간 1600억, 일벌백계해야"
▲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28일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최근 5년간 은행권 금융사고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 8월까지 20개 시중은행에서 금융사고가 182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고금액은 1633억 원으로 나타났다.

금융사고는 금융기관 소속 임직원 등이 사기, 횡령·유용, 업무상 배임, 도난·피탈 등 위법·부당행위를 함으로써 금융거래자에게 손실을 초래하거나 금융질서를 문란하게 한 경우를 의미한다.

연도별로는 2017년 31건(223억원), 2018년 47건(624억원), 2019년 39건(494억원), 2020년 43건(46억원)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2021년 들어서는 8월까지 횡령·유용13건, 사기 4건 등 22건(247억원)의 사고가 일어났다.

기간 중 가장 많은 금융사고가 난 은행은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으로 각각 24건이 발생했다. NH농협은행(23건), 신한·우리은행(22건), 기업은행(19건), SC제일은행(13건)이 뒤를 이었다.

신한, KB, 하나, 우리, NH 등 5대 시중은행에서 115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해 전체 건수의 63.2%를 차지했다.

기간 중 사고금액이 가장 큰 곳은 우리은행으로 423억 원의 사고금액이 발생했다. 부산은행(306억 원), 하나은행(142억 원), NH농협은행(139억 원), 대구은행(134억 원), 신한은행(104억 원)이 뒤를 이었다.

대표적 금융사고 사례를 보면 NH농협은행에서 한 직원이 고객 명의 대출서류를 작성해 약 25억 원을 횡령했다. 하나은행 부산지점 여신담당 직원은 30억 원의 부당대출을 실행해 주식에 투자했다. 해당 직원은 은행 자체감사에서 적발돼 면직처리와 고발조치를 당했다.

윤창현 의원은 “은행의 핵심자산은 고객의 믿음이다”며 “경영진은 신뢰에 직결되는 범죄를 일벌백계하고 시스템 감사를 통한 사전 예방노력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최신기사

금융당국 조직개편 날벼락, 증권사 IMA·발행어음 심사 밀릴까 노심초사
중국 빅테크도 미국 뒤따라 'AI 투자 경쟁', 글로벌 금융자본이 판 키운다
엔비디아 HBM4 성능 상향 요구에 마이크론 진땀, 삼성전자 내년 HBM4 입지 더 커진다
정부 요직 곳곳에 포진한 '이재명 동기', 사법연수원 18기 전성시대
크림 '가품 논란'에 플랫폼 신뢰 '흔들', 페이머스스튜디오 검수 역량 물음표
한화에어로 손재일 펜타곤 출신 대거 영입, 차륜형 K9자주포 북미 시장 진출 잰걸음
SK케미칼 자회사 지분 활용해 투자금 확충, 안재현 친환경 전환 속도 높인다
DL건설 수장 1년 만에 현장·주택 전문가로, 여성찬 안전·수주 솜씨 발휘 특명
외국인 입소문 'K의료 뷰티', 파마리서치·클래시스 미용의료 성장 기대감 높다
카드업계 '최장 10일' 황금연휴 공략 시동, 여행·쇼핑 투트랙으로 고객 유혹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