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지만, 선도기업들은 이미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넘어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을 바라보고 있다. 만물인터넷은 가전기기는 물론 사람과 사물, 동식물 등 모든 만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개념이다.
◆ 구글 만물인터넷 사업에 뛰어들어
![]() |
||
▲ 슈미트 구글 회장 |
구글은 만물인터넷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2014년을 “모바일의 승리가 완성되는 해”로 예측했다. 구글의 사업이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모바일 다음 이슈인 사물인터넷과 만물인터넷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구글은 지난 13일 벤처기업 네스트랩을 인수하겠다고 밝혔다. 네스트랩은 애플출신의 토니 파델과 맷 로저스가 2010년 공동창업한 기업으로 자동온도조절장치 ‘서모스탯’ 등으로 이름을 알렸다. 일부에서는 구글이 네스트랩을 인수한 것에 대해 의문을 품었다. 하지만 이것은 구글의 신사업 전략으로 알려졌다.
레이 왕 컨스텔레이션 리서치 애널리스트는 “구글이 만물인터넷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시암 파틸 웨드부시 애널리스트 역시 “만물인터넷으로 모든 것을 연결해 집 안을 통제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은 구글에 매우 큰 시장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네스트랩 인수는 그 과정이라고 말했다.
구글은 지금까지 구글글래스, 무인자동차, 로봇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왔다. 이제는 만물인터넷으로 사용자들의 삶의 전 영역에서 영향력을 넓혀가려 하고 있다.
◆ 만물인터넷은 사물인터넷과 차원이 달라
1월6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14에서 존 체임버스 시스코 회장은 기조 연설자로 나섰다. 체임버스 회장은 사물인터넷이 가져올 변화를 소개하며 만물 인터넷 시대의 태동을 선언했다. 그는 “2014년은 '만물인터넷의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10년간 만물인터넷의 시장규모를 19조 달러로 예상했다.
만물인터넷은 사물인터넷은 단순히 확장한 것이 아니다. 칼로스 도밍게즈 시스코 수석부사장은 사물인터넷을 유선인터넷에, 만물인터넷을 무선인터넷에 비교하며 “무선인터넷 시대가 성취한 변화와 발전은 유선인터넷 시대에서라면 상상도 못할 수준"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사물인터넷의 범위를 조금 넓힌 것이 만물인터넷이 아니라 사물인터넷을 통해 발전은 하지만 이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변화와 가치를 창출해 내는 것이 만물인터넷"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삼진제약 조규석 최지현 공동경영 방어벽 자사주 12%, '소각 법제화'에 어떻게 대응하나 |
삼진제약 오너2세 조규석 최지현 대이은 공동경영, 최대 변수는 3대 주주 하나제약 움직임 |
하나제약과 오너 일가 조동훈은 왜 삼진제약에 투자했을까, 배당 목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
한국해운협회, 포스코그룹 회장 장인화에게 'HMM 인수 검토 철회' 요청 |
NH투자 "코스맥스 내년 중국서 고객 다변화, 주가 조정 때 비중 확대 권고" |
메리츠증권 "CJENM 3분기 미디어 플랫폼 적자, 영화 드라마는 흑자전환" |
SK증권 "대웅제약 내년 영업이익 2천억 돌파 전망, 호실적 지속" |
이재용·정의선·조현준, 14일 일본 도쿄 '한미일 경제대화'에 참석 |
코스피 미국 중국 무역 갈등에 3580선 하락, 원/달러 환율 1425.8원 마감 |
비트코인 1억7334만 원대 상승, 시세 변동성 커지며 전문가 전망 엇갈려 |
카카오 비수기 3분기 실적 증가, AI 서비스로 '카카오톡 개편 논란' 잠재울까 |
대신증권 "아모레퍼시픽 해외 지역 포트폴리오 다변화, 코스알엑스 4분기 부진 완화" |
산업장관 김정관 "미국의 3500억 달러 투자금 증액 요구 없어" "새 제안 와서 검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