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항공업계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정부는 일부 지역의 반발에도 국내 항공정비사업과 관련해 지역별 중복투자 방지를 위해 인천국제공항에 해외 복합항공정비업체를 유치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겠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에 해외 복합항공정비업체를 유치하도록 하고 김포공항에 저비용항공사(LCC) 특화 항공정비 사업을 추진한다는 정부의 항공정비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이 나온 뒤 지금까지 항공정비사업을 추진하던 지역에서는 부정적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천을 비롯해 청주, 부산 등에서는 각각 기존에 추진하던 항공정비사업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장 강하게 반발하는 사천지역은 물론 김해공항을 통해 저비용항공사(LCC) 특화 항공정비 사업을 추진하던 부산시 역시 24일 항공업계 전문가 등을 모아 간담회를 열기로 하는 등 대응방안 마련에 분주하다.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국민신문고에 올린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의 인천공항 항공기 개조사업 논란에 관한 민원’과 관련해 19일 내놓은 답변을 통해 기존 방침을 재확인했다.
국토부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항공정비사업 추진은 위법하지 않다”고 답변했다.
이처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해외 복합항공정비업체 유치 등 항공정비사업 추진이 궤도에 오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인천시의 신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계획도 힘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시는 바이오산업과 항공산업을 두 축으로 지역의 미래 먹거리를 키우려 한다.
인천시는 항공산업과 관련해 공항을 중심으로 항공정비는 물론 물류, 관광 등 연관산업이 결합된 ‘공항경제권’을 형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인천시는 정부의 항공정비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이 발표되자 16일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항공정비산업을 비롯한 '인천 항공산업’ 전반에 큰 탄력이 예상된다”며 “인천 산업구조의 중심 뿌리산업인 제조업이 추진하고 있는 기술 고도화와 사업 다각화를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효과가 높은 항공산업으로 지원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특히 자동차산업을 항공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체계 구축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추진되는 인천시의 주요 사업이기도 하다.
김 사장도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사업 다각화와 방향을 같이 하는 인천시의 공항경제권 추진에 적극적이다.
김 사장은 올해 말까지 개발계획방안 마련을 목표로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장기주차장 부지에 ‘랜드마크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랜드마크 복합단지는 인근 지역과 연계는 물론 도심항공교통(UAM)을 위한 이착륙 시설도 설치되는 등 인천시의 새로운 산업 계획의 실현을 위한 시험적 역할도 맡게 된다.
김 사장은 4월에는 인천시의회, 인천시교육청,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등 유관기관과 공항경제권 공동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김 사장은 공항경제권 추진을 놓고 “코로나19의 장기화로 항공산업 생태계가 위기를 겪고 있지만 인천국제공항경제권 구축을 통해 미래공항의 성장 패러다임을 선도함으로써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포스트 코로나19시대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