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채널Who] 5G통신 제대로 이해하기, 이 뜻 정도는 반드시 알아야

윤휘종 기자 yhj@businesspost.co.kr 2021-03-17 09:0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4차산업혁명의 대두와 함께 반도체, 5G통신 등 정보통신기술(ICT)과 관련된 관심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언론보도들이 전문용어를 그대로 쓰다 보니 일반 소비자들은 기사를 온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정보통신기술 관련 기사에 자주 나오는 용어들을 알기 쉽게 풀이해봤다.

◆ sub-6과 밀리미터파(mmWave)

전파는 진동하며 전진하는 성질이 있다. 1초에 전파가 진동하는 횟수를 주파수, 혹은 진동수라고 하고 한 번의 진동이 가지는 길이를 파장이라고 한다.

진동수의 단위는 헤르쯔(Hz), 파장의 단위는 ‘미터’다. 

1초에 전파가 많이 진동한다면 한 번 진동의 길이는 짧아질 수밖에 없기 떄문에 진동수와 파장은 반비례 관계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3~30GHz대역을 초고주파, 그리고 30~300GHz 대역을 극고주파라고 부른다. 초고주파의 파장은 1~10cm이기 때문에 센티미터파, 그리고 극고주파의 파장은 1~10mm이기 때문에 밀리미터파라고도 부른다. 

하지만 통신에서는 조금 구분법이 다르다. 6GHz 이상의 대역을 초고주파, 밀리미터파 대역으로 통칭하고 그 이하를 6GHz보다 낮은 주파수, sub-6GHz 대역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 5G통신에서 활용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은 3.5GHz 대역과 28GHz 대역이다. 3.5GHz는 sub-6GHz 대역의 전파, 28GHz는 초고주파수 대역의 밀리미터파를 활용하는 5G통신이라고 볼 수 있다.

전파의 특성은 이 주파수와 파장에 따라 바뀌게 된다.

밀리미터파는 sub-6GHz 대역 전파보다 훨씬 많은 양의 정보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3.5GHz 주파수 전파를 활용한 5G통신은 LTE통신과 비교해 전송속도가 4배 정도 빠르지만 28GHz 주파수 전파를 활용한 5G통신은 LTE통신보다 20배 빠른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하지만 28GHz 대역 등 초고주파수 밀리미터파는 3.5GHz 대역 등 sub-6GHz 전파보다 회절성이 약해 장애물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넓은 지역에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불리해 이동통신사들은 28GHz 대역 밀리미터파 5G통신을 기업대소비자(B2C) 서비스가 아닌 기업대기업(B2B) 서비스에 활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 모바일AP

AP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줄임말이다.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이해하면 쉽다.

컴퓨터에 비유한다면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 랜카드의 기능이 AP라는 부품 하나에 모여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AP를 SoC(시스템 온 어 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 AP브랜드로 삼성전자에서 생산하는 엑시노스 시리즈, 퀄컴에서 생산하는 스냅드래곤 시리즈, 애플에서 생산하는 A시리즈 등이 있다.

◆ 비트 퍼 세컨드(bps)

bps는 1초에 몇 비트의 정보를 전달하는지를 표시해주는 전송속도의 단위다. 100Mbps라면 1초에 100메가비트의 정보를, 1Gbps라면 1초에 기가비트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는 뜻이다.

bps가 표시하는 정보의 단위가 ‘바이트(B)’가 아닌 ‘비트(b)’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저장장치의 용량을 사용할 때 비트가 아닌 바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속도의 단위 역시 바이트로 오해하기 쉽다.

비트는 바이트보다 더 작은 단위다. 8비트가 1바이트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기가인터넷의 전송속도인 1Gbps는 1초에 1기가바이트(GB)가 아닌 1기가비트(Gb), 즉 125메가바이트(MB)를 전송하는 속도다. 

일반적으로 해외로밍서비스에서 통신사들이 ‘데이터 무제한’으로 제공하는 300Kbps의 속도 역시 1초에 300킬로바이트(KB)가 아닌 1초에 300킬로비트(Kb), 즉 37.5킬로바이트의 정보를 전송하는 속도다. [채널Who 윤휘종 기자]

최신기사

엔비디아 인텔에 50억 달러 지분투자, 로이터 "TSMC에 잠재적 위협"
한국GM 노사 임금교섭 잠정합의, 기본급 인상에 성과급 1750만원 지급
고려아연 자사주 잔여분 연내 전량 소각, "총주주환원율 200% 목표"
현대차 미국서 해외 첫 'CEO 인베스터데이', 2030년까지 77조3천억 투자
신라면세점 인천공항서 철수, "운영 지속하기엔 손실 너무 커"
삼성전자 XR기기 '무한' 10월22일 공개, 곧바로 정식판매 돌입
SK하이닉스 HBM4 엔비디아 최대 공급사 전망, 삼성전자는 속도 우위
해킹 사태에 고개 숙인 롯데카드 조좌진, "사임 포함한 인적 쇄신 약속한다"
금감원 직원 1100여명 국회 앞 조직개편 반대 집회, "자리 나눠먹기 위한 해체"
노동장관 김영훈 "노란봉투법은 중대재해예방에 도움" "구체적 메뉴얼 마련"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