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근로복지공단, 포항제철소 노동자 폐섬유화증을 산업재해로 인정

장은파 기자 jep@businesspost.co.kr 2021-03-02 18:54:1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근로복지공단이 포항제철소에서 일하다 폐섬유화증에 걸린 노동자를 산업재해로 승인했다.

‘직업성·환경성 암환자 찾기 119’(직업성암119)는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29년 동안 일한 노동자 정모씨가 근로복지공단 포항지사로부터 특발성 폐섬유화증을 업무상 질병으로 승인받았다고 2일 밝혔다.
 
근로복지공단, 포항제철소 노동자 폐섬유화증을 산업재해로 인정
▲ 포스코 포항제철소.

이번 질병성 산업재해는 2010년 이후 포스코 직업병 관련해 4번째 승인 사례이며 폐섬유화증으로는 포스코에서 처음이다.

정 씨는 1980년 포스코에 입사해 29년 동안 코크스공장의 선탄계 수송반에서 일했다. 코크스는 석탄을 오븐 행태의 구조에서 구워 만든 물질로 용광로 원료로 사용된다.

최근 이 공정에서 석탄분진을 포함해 벤젠, 벤조피렌 등의 유해성분이 배출돼 근로자들이 직업성 질병에 걸린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정씨는 2019년 폐섬유화 진단을 받은 뒤에 2020년 12월 동료들과 함께 집단산재신청을했다.

근로복지공단은 “정씨가 29년 동안 코크스공장 선탄계 수송반에서 일하면서 석탄분진 등에 장기간 노출됐다고 판단된다”며 “현재의 작업환경 측정결과에서도 석탄분진이 상당정도 측정된 데다 과거의 작업환경과 보호구 착용 관행을 유추해볼 때 신청인의 병에 작업환경이 상당부분 작용했을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기자]

최신기사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7 엑시노스2500 탑재 무산되나, 퀄컴 AP 적용 전망
5월부터 유류세 인하율 축소, 휘발유와 경유 리터당 40원과 46원 오른다
비트코인 시세 흐름 미국 증시보다 금에 더 가까워져, 기관 투자자도 복귀
SK온 LG화학 배터리 소재에도 25% 관세 부과할 듯, 미국 전기차 가격상승 원인
삼성전자 DDR4 D램 2027년 생산 종료, 전영현 중국 추격에 고부가 D램 비중 늘..
미국 기준금리 '강제적 인하' 가능성, 씨티 "트럼프 관세 미국 경제에 타격 커"
대한상의 최태원 "메가 샌드박스에서 학업이 일자리인 스페셜존 만들자"
인텔 차세대 CPU도 TSMC 2나노 활용, 자체 18A 미세공정과 '투트랙' 전망
기후변화센터 쿡스토브 사업 효과성 해명, "합법적이고 투명하게 수행"
DS투자 "오리온 목표주가 상향, 국내외 외형 성장으로 실적 개선 기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