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지난해 8조 적자

김디모데 기자 Timothy@businesspost.co.kr 2016-01-07 14:38:14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3사가 지난해 8조 원에 이르는 적자를 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선박수주 순위에서도 중국의 벽에 막히며 2위에 그쳤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3사는 지난해 모두 8조 원의 적자를 냈다. 사상 최대 규모 적자로 2014년까지 합하면 2년 만에 무려 10조 원이 넘는 적자를 봤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지난해 8조 적자  
▲ 왼쪽부터 권오갑 현대중공업 사장,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
지난해 대우조선해양이 5조 원으로 가장 많은 적자를 냈다. 삼성중공업이 1조5천억~1조7천억 원, 현대중공업이 1조4천억~1조5천억 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수주실적도 좋지 않았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전 세계 선박수주 순위에서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015만CGT(표준환산톤수)를 수주했고 중국은 1025만CGT를 수주했다. 전세계 점유율을 보면 중국이 30.3%, 우리나라가 30.0%였다. 2014년 점유율차이가 9.1%포인트였던 데 비하면 격차를 좁혔으나 1위 자리 탈환에 실패했다.

일본이 엔저를 앞세워 점유율을 늘리며 우리나라를 추격했다. 일본은 점유율을 2014년 21.6%에서 지난해 27.1%로 늘렸다.

조선3사가 제 살 깎아 먹기 방식의 저가 수주경쟁에서 벗어나 전문영역별로 역량을 갖춰 수주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3사는 올해도 실적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대규모 손실을 입힌 해양플랜트 부실 위험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은데다 전 세계 조선업황이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조선업 사상 전례가 없을 정도로 암울한 상황”이라며 “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최신기사

국가 AI전략위 8개 분과위 구성, 동국대 교수 고삼석 포함 52명 추가 합류
현대차 대표 무뇨스 "미국 내 제조 의지 확고, 임직원 안전 근무에 총력"
금융위원장 이억원과 금감원장 이찬진 회동, 금융감독 개편 "한 팀 한목소리"
iM증권 2025년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 9월30일까지 접수
금호석유화학 500억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 주주가치 제고 목표
[노란봉투법 대혼란④] 이마트 매장 출점·퀵커머스 확대에 '큰 산' 직면, 한채양 본업..
금호석유화학그룹 환경경영 내실화, 계열사 탄소배출 감축 노력
미국 틱톡 사업권 유지에 오라클 포함 다수 기업 참여, CBS "컨소시엄 꾸려"
금감원장 이찬진 조직개편 관련 첫 입장, "정부 결정 집행할 책무 있어"
[현장] '해킹사고' 뒤 금감원장 만남에 여신전문금융권 긴장, 이찬진 "사이버 침해 사..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