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이웅열 회장의 너무 많은 '아킬레스건'

박은희 기자 lomoreal@businesspost.co.kr 2014-01-14 17:09:3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과감한 구조조정을 통해 금융위기도 이겨낸 이웅열 회장이지만, 코오롱의 도약을 위해 그가 넘어야할 산은 아직 많다. 바로 그의 발목을 잡고 있는 계열사들이다.


  이웅열 회장의 너무 많은 '아킬레스건'  
▲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
◆코오롱건설, 건설업계 불황에 ‘빚폭탄’


현재 이 회장의 발목을 가장 단단히 묶고 있는 것은 코오롱글로벌(전 코오롱건설)이다. 코오롱건설은 2000년대 중반까지 그룹 내에서 가장 좋은 실적을 내던 계열사였다. 2005년과 2006년에는 매출 1조원을 넘기며 10%대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9년 부동산 경기침체 속에 무리하게 추진했던 주택사업이 직격탄을 맞으며 2010년 적자로 돌아섰다. 이 회장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2011년 말 코오롱아이넷, 코오롱비엔에스를 코오롱건설에 흡수합병시켜 코오롱글로벌로 묶는 결단을 내렸다.


합병 후 매출이 3배 가량 늘고 영업손실 규모는 3분의 1수준으로 감소했으나 이는 수입차 판매부분의 성과가 건설부문의 부진을 덜어낸 결과였다.


코오롱글로벌은 2012년 적자전환의 주요인이었던 주택사업 규모를 대폭 줄였다. 하지만 기존 부실사업이 많아 공사미수금은 1조192억 원에 달했다. 이 때문에 그해 공사미수금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1940억 원이 늘어 232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증권업계에서는 코오롱글로벌의 대손충당금 설정비율이 26%로 낮은 편이라는 점을 들어 악성 미분양을 해결하지 않는 한 흑자전환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이 공사미수금 때문에 발생한 부채를 상환하고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외부에서 차입해 사용하는 점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코오롱글로벌은 2012년부터 발행한 회사채에는 차입을 위해 트리거 조항을 넣었다. 트리거 조항은 반기 연속 부채비율이 500%가 넘을 경우 조기상환한다는 내용의 조항으로, 이 조항에 해당하는 회사채 물량만 2200억 원에 달한다.


건설시장 경색에 따라 코오롱글로벌의 재무구조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2200억 원의 회사채 물량은 코오롱그룹 전체를 흔드는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1조원 규모 소송, 정치적 이슈 등 악재


연매출 5조원 이상, 매년 3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그룹의 캐시카우 역할을 해오던 코오롱인더스트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듀폰과 1조원대에 달하는 소송에 휘말리면서다.


지난해 미국법원은 첨단 섬유제품과 관련한 영업비밀을 침해당했다며 듀폰이 제기한 민사소송 1심에서 코오롱인더스트리에 9억1990만 달러(한화 약 1조140억 원)를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바로 항소를 제기하고 지난 5월 항소심 변론을 마친 후 최종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최종 판결 역시 1심과 동일할 경우, 코오롱 측은 1조원 가량을 물어줘야 하는 상황이다.


만기 도래 회사채를 막기에도 바쁜 이 회장으로서는 재판 결과에 따라 후폭풍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적 이슈도 이 회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 코오롱그룹은 코오롱 사장 출신인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과 밀접한 관계를 통해 MB 정부의 대표적 특혜 기업으로 꼽힌다. 현재 이상득 전 의원은 코오롱으로부터 불법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재판이 진행 중이다.

지난해 말에는 코오롱이 2대주주로 있는 카프로가 효성그룹 탈세 및 비자금 의혹에 연루돼 한 바탕 홍역을 치렀다. 이보다 앞선 4월에는 4대강 수질개선 사업에 참여한 코오롱워터텍이 관련 공무원과 심의위원 등에게 모두 10억원이 넘는 현금을 건넨 사실을 보여주는 문서가 발견돼 비난 여론이 일기도 했다.

최신기사

DL이앤씨 주택 흥했으나 플랜트 난항, 박상신 수익성 회복세 연말 주춤 분위기
LG헬로비전 노사 본사 이전 두고 갈등 격화, 올해 임금협상 최대 변수 부각
SK디스커버리 이제 SK가스에 의존해야 하는데, 최창원 빠듯한 살림에 주주환원 딜레마
"'롤' 보다가 알았다", e스포츠로 잘파세대 공략 나서는 금융사들
글로벌 누비고 국내투자 늘리는 총수들, 대기업 그룹주 ETF 한번 담아볼까
엔씨소프트 아이온2 출시 뒤 주가 아직 몰라, 새벽 대기 3만 명이 남긴 기대감
제헌절 공휴일 복귀 18년 만에 급물살, '반헌법 윤석열'도 한몫해 얄궂다
효성 주력 계열사 호조로 배당여력 커져, 조현준 상속세 재원 마련 '청신호'
데워야 하나 vs 그냥 먹어야 하나, 누리꾼 1만 명이 벌인 편의점 삼각김밥 논쟁
미국·일본 '원전사고 트라우마' 극복 시도, 러시아·중국 맞서 원전 경쟁력 키워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