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소비자·유통

신격호 상속 마무리, 신동빈 41.7% 신영자 33.3% 신동주 25% 비율

최석철 기자 esdolsoi@businesspost.co.kr 2020-07-31 17:44:3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60220'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신격호</a> 상속 마무리,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401728'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신동빈</a> 41.7% 신영자 33.3% 신동주 25% 비율
▲ 롯데그룹 지분율 관계도. <롯데지주>
신격호 롯데그룹 명예회장의 유족들이 신 명예회장이 남긴 롯데지주와 롯데쇼핑,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 등 국내 상장사 지분을 상속받았다.

상속비율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41.7%, 신영자 전 이사장 33.3%, 신동주 회장 25% 순이다.

신동빈 회장은 상속을 통해 롯데지주 지분율(보통주 기준)은 11.75%에서 13.04%로 끌어올렸다.

롯데지주와 롯데쇼핑, 롯데제과, 롯데칠성음료는 31일 신 명예회장 유산분할에 따른 상장 주식 지분 변동내역을 각각 공시했다.

신 명예회장은 국내에서 상장사인 롯데지주 보통주 324만5425주와 우선주 13만9847주, 롯데제과 보통주 28만7408주, 롯데쇼핑 보통주 26만2438주, 롯데칠성음료 보통주 10만4080주와 우선주 10만9780주를 남겼다.

국내 상장사 지분은 신동빈 회장과 신영자 전 이사장, 신동주 회장만 물려받았다. 신유미 전 호텔롯데 고문은 일본 재산을 갖기로 해 이번 국내 상장사 지분 상속대상에서 빠졌다.

각 지분의 상속비율은 신동빈 회장이 41.7%, 신영자 전 이사장이 33.3%, 신동주 회장이 25%다.

각 회사 지분별로 살펴보면 신동빈 회장은 롯데지주 보통주 135만2261주를, 신영자 전 이사장은 108만1808주를, 신동주 회장은 81만1356주를 각각 물려받았다.

롯데지주 우선주는 신동빈 회장이 5만8269주, 신영자 전 이사장이 4만6616주, 신동주 회장이 3만4962주를 상속받았다.

신동빈 회장의 롯데지주 지분율(보통주 기준)은 11.75%에서 13.04%로 높아졌다. 

신영자 전 이사장의 롯데지주 지분율은 2.24%에서 3.27%로, 신동주 회장의 롯데지주 지분율은 0.16%에서 0.94%로 각각 증가했다.

롯데쇼핑 보통주는 신동빈 회장이 10만9349주, 신영자 전 이사장이 8만7479주, 신동주 회장이 6만5610주를 물려받았다.

신동빈 회장이 보유한 롯데쇼핑 지분율은 9.84%에서 10.23%로 높아졌다.

신영자 전 이사장은 0.74%에서 1.05%로, 신동주 회장은 0.47%에서 0.71%로 롯데쇼핑 지분율이 높아졌다. 

롯데제과 보통주는 신동빈 회장이 11만9753주를, 신영자 전 이사장이 9만5803주를, 신동주 회장이 7만1852주를 각각 상속받았다.

그동안 롯데제과 지분을 갖고 있지 않았던 신동빈 회장과 신동주 회장의 롯데제과 지분율은 상속 이후 각각 1.87%, 1.12%가 됐다.

신영자 전 이사장의 롯데제과 지분율은 1.66%에서 3.15%로 증가했다. 

롯데칠성음료 보통주는 신동빈 회장이 4만3367주, 신영자 전 이사장이 3만4693주, 신동주 회장이 2만6020주를 물려받았다.

롯데칠성음료 우선주는 신동빈 회장이 4만5742주, 신영자 전 이사장이 3만6593주, 신동주 회장이 2만7445주를 나눠 상속받았다.

신동빈 회장이 보유한 롯데칠성음료 지분율은 0%에서 0.54%로, 신동주 회장은 0%에서 0.33%로 늘었다. 

신영자 전 이사장의 롯데칠성음료 지분율은 2.66%에서 3.09%로 높아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최신기사

롯데백화점 10월 황금 연휴에 중국 관광객 급증, 외국인 매출 40% 증가
경찰 캄보디아 내 한국인 관련 범죄 대응 강화, '코리아데스크' 설치 논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복구율 35.1%, 1등급은 75%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는 정상, 미국 고집 땐 단호한 상응 조치할 것"
한은 이창용, 미국 워싱턴서 열리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
우리금융 종합금융그룹 완성 기념 고객 감사행사, 최대 '연 7% 적금' 출시
트럼프 13일 이집트서 '가자지구 휴전' 정상회의 주재, 20개국 참여 예정
네이버 "치지직 골프 중계로 이용자층 확대, 골프 시청자 70%가 40대 이상"
LG그룹, APEC 정상회의 성공적 개최 위해 계열사 총력 지원
쿠팡 13일까지 '와우세일페스타' 진행, 와우회원 대상 2만 개 상품 할인행사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