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일반

국토부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내놔, 9억 이상 현실화율 높아져

안대국 기자 dkahn@businesspost.co.kr 2020-01-22 17:20:3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국토부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내놔, 9억 이상 현실화율 높아져
▲ 2020년 1월1일 기준 시세구간별 표준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 <국토교통부>
올해 9억 원 이상 표준단독주택의 공시가격이 크게 오르며 현실화율이 높아졌다. 

22일 국토부가 내놓은 2020년 1월1일 기준 ‘2020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에 따르면 2020년 전체 표준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53.6%로 2019년보다 0.6%포인트 올랐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가 전국 단독주택 가운데 대표성이 있는 가구를 뽑아 평가한 것으로 개별단독주택 가격 산정의 기준과 재산세 등 각종 조세 및 부담금 부과의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된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이란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과 실제 거래된 시세의 비율로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낮다는 것은 그만큼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이 시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공시가격이 실제 시세보다 저평가돼 있다는 의미다.

시세구간별로 표준주택 공시가격의 현실화율을 살펴보면 9~12억 원인 표준주택의 현실화율은 53.4%로 2019년보다 2%포인트 상승했다.

12~15억 원 표준주택과 15~30억 원 표준주택, 30억 원 이상 표준주택의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각각 3.1%포인트, 1.8%포인트, 0.3%포인트 올랐다.

반면 9억 이하 표준주택의 현실화율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시세구간별로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의 변동률을 살펴보면 9억 원 이상의 상승률이 9억 원 이하보다 높았다.

30억 원 이상 구간에 해당하는 표준단독주택의 공시가격 상승률은 4.78%고 15~30억 원 구간 상승률은 7.49%다. 12~15억 원 구간은 10.1%, 9~12억 원 구간은 7.9% 각각 상승했다.

9억 원 미만 표준단독주택의 공시가격 상승률은 3억 원 이하가 2.37%, 3억~6억 원 구간은 3.32%, 6~9억 원 구간은 3.77%다.

2020년 전국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평균 4.47% 상승했다.

최근 10년 동안 평균 상승률인 4.41%와 비슷하지만 2019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의 전국 상승률 9.13% 보다 상승폭이 줄어든 것이다.

지역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서울 6.82%, 부산 4.26%, 대구 5.74%, 인천 4.41%, 광주 5.85%, 대전4.2%, 울산 -0.15%, 세종 4.65%, 경기 4.54%, 강원 2.75%, 충북 1.73%, 충남 0.76%, 전북 2.57%, 전남 4.05%, 경북 2.09%, 경남 -0.35%, 제주 -1.55% 등이다.

이번에 발표한 공시가격은 2019년 12월17일 정부가 내놓은 ‘2020년 부동산 가격공시 및 공시가격 신뢰성 제고방안’에서 제시된 기준에 따라 산정됐다.

국토부는 이번 공시를 위해 전국 단독주택 418만 호 가운데 도시지역에서 14만2천 호, 비도시지역에서 7만8천을 뽑아 모두 22만 호의 표준단독주택을 선정했다.

이번에 발표된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 누리집,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누리집 또는 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의 민원실에서 1월23일부터 2월21일까지 열람할 수 있다.

이의신청은 1월23일부터 2월21일까지 해당 시·군·구의 민원실과 국토교통부 누리집을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 할 수 있다.

국토부는 2월21일까지 접수된 이의신청을 재조사·산정하고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를 다시 거쳐 3월20일 최종 공시한다. [비즈니스포스트 안대국 기자]

최신기사

한국 석탄발전 폐지 약속 '아시아 경제' 전반에 변수, "청정에너지 전환 가속화" 전망
OLED 넘어 마이크로LED 스마트폰 시대 열리나, 중국에 쫓기는 삼성·LG디스플레이 ..
삼성건설 대표 오세철 '60세 룰' 넘어 건설 장수 CEO 반열에, 사업다각화 완성 이끈다
정부 해외주식 양도세·국민연금 운용 개편 논의, '고환율 대응책' 논란에 곤혹
10월 서울 아파트거래 최근 5년 평균의 2.6배, 10·15대책 '막차 수요' 몰려
'조선업 재건' 일본 한국에 '이중 공세', 발주 내부로 돌리고 미국과 밀월 강화 
영화 '위키드: 포 굿' 1위 등극, OTT '모범택시3' 새롭게 1위 올라
HD현대중공업 부회장 이상균, 2021년 조선소 사망사고 책임 '징역 6개월 집행유예 ..
여야 배당소득 분리과세 '50억 초과' 구간 신설 합의, 2억~50억은 25%
BNK금융 해외사업·해양금융으로 성장 가속, '4파전' 다음 회장에 쏠리는 눈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