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네 명 중 한 명은 삼성을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떠올린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 |
||
| ▲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 ||
삼성을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떠올린 비율은 미국보다 유럽에서 높았다. 미국인 가운데 삼성을 꼽은 것은 202명 가운데 38명으로 18.8%였다. 하지만 유럽인은 248명 중 30.2%에 해당하는 75명이 삼성을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꼽았다.
외국인들이 한국 대표 이미지로 꼽은 것 중 1위는 31.2%를 차지한 하이테크 기술이었다. 2위가 삼성이었고 3위는 14.4%가 꼽은 IT 강국이었다. 한국 하면 생각나는 것 1위에서 3위가 직간접적으로 삼성과 연관된 것이다. 삼성이 한국의 대표 이미지의 70%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12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유럽 7개국 국민 481명을 상대로 한국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를 설문조사를 했을 때도 삼성은 1위를 차지했다. 전문가 집단의 12.9%, 일반인의 21%가 한국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로 삼성을 첫손꼽았다.
유럽과 미국뿐 아니라 국내외 38개국 외국인 1160명으로 조사집단을 확장했을 때도 한국에서 연상되는 이미지 1위는 삼성이었다. 삼성은 한국의 대표기업으로 꼽히기도 했다. 삼성의 주력부문인 휴대폰과 가전제품이 한국의 대표제품 1, 2위였다.
그러나 엄밀히 따져보면 삼성은 한국기업이 아니다. 오히려 다국적기업이라고 해야 정확하다. 삼성그룹의 대표적 계열기업인 삼성전자는 외국인이 지분 5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한때 외국인 지분이 60%를 바라볼 정도로 비중이 커졌다가 2006년 50% 밑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외국인들이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하면서 다시 외국인 지분이 50%를 넘어섰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삼성전자 지분 3.38%밖에 보유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삼성그룹은 일반적으로 오너 지배력이 강한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외국인들도 자연스럽게 삼성을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우리금융그룹 계열사 10곳 CEO 임기 만료, 임종룡 회장 연임과 책임경영 기조에 운명 달렸다. |
| '쿠팡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 비전 밀고가는 김범석, AI로 확장하는 조직개편 움직임 주목 |
| 김범석 왜 쿠팡 리스크에 인간 방패 경영만 하나, 강한승 정종철 홍용준 계열사 3곳 대표 김앤장 출신 |
| 비트코인 1억5202만 원대, JP모간 "17만 달러까지 오를 것" 낙관론 유지 |
| IBK투자 "KT&G 담배사업부 영업이익률 27%, 부동산사업 5% 미만에 그쳐" |
| 코스피 외국인·기관 매도에 10일 만 4000선 내줘, 원/달러 환율 1456.9원 마감 |
| [7일 오!정말] 민주당 정청래 "어떻게 액셀러레이터 브레이크 동시에 밟는가" |
| IBK투자 "롯데칠성, 해외 자회사 성장 및 원가 완화로 이익 개선 기대" |
| 한국GM 9개 직영 서비스센터 내년 2월 운영 종료, 380여 협력 서비스센터 체제로 전환 |
| 영화 '퍼스트 라이드' 1위 등극, OTT '우주메리미' 태풍상사 제치고 1위 올라 |
| 이재명 정부 '국가과학자' 100명 뽑는다, 과학기술 인재육성 전면 개편 |
| 금호석유화학 업계 위기 속 실적 돋보여, 박준경 확실한 성과에 경영권도 탄탄 |
| IBK투자 "GS리테일 점포 스크랩 효과는 4분기에도 기대, 성장전략은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