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네 명 중 한 명은 삼성을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떠올린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 |
||
▲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
삼성을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떠올린 비율은 미국보다 유럽에서 높았다. 미국인 가운데 삼성을 꼽은 것은 202명 가운데 38명으로 18.8%였다. 하지만 유럽인은 248명 중 30.2%에 해당하는 75명이 삼성을 한국의 대표 이미지로 꼽았다.
외국인들이 한국 대표 이미지로 꼽은 것 중 1위는 31.2%를 차지한 하이테크 기술이었다. 2위가 삼성이었고 3위는 14.4%가 꼽은 IT 강국이었다. 한국 하면 생각나는 것 1위에서 3위가 직간접적으로 삼성과 연관된 것이다. 삼성이 한국의 대표 이미지의 70% 이상을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12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유럽 7개국 국민 481명을 상대로 한국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를 설문조사를 했을 때도 삼성은 1위를 차지했다. 전문가 집단의 12.9%, 일반인의 21%가 한국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로 삼성을 첫손꼽았다.
유럽과 미국뿐 아니라 국내외 38개국 외국인 1160명으로 조사집단을 확장했을 때도 한국에서 연상되는 이미지 1위는 삼성이었다. 삼성은 한국의 대표기업으로 꼽히기도 했다. 삼성의 주력부문인 휴대폰과 가전제품이 한국의 대표제품 1, 2위였다.
그러나 엄밀히 따져보면 삼성은 한국기업이 아니다. 오히려 다국적기업이라고 해야 정확하다. 삼성그룹의 대표적 계열기업인 삼성전자는 외국인이 지분 5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한때 외국인 지분이 60%를 바라볼 정도로 비중이 커졌다가 2006년 50% 밑으로 떨어졌다. 지난달 외국인들이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하면서 다시 외국인 지분이 50%를 넘어섰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삼성전자 지분 3.38%밖에 보유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삼성전자와 삼성그룹은 일반적으로 오너 지배력이 강한 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외국인들도 자연스럽게 삼성을 한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조현준 효성화학 천문학적 부채와 힘겨운 싸움, 효성그룹으로 위기 전이 분수령 |
조홍제 조석래 조현준 3대가 기술로 키워온 효성, 경영권 분쟁은 성장통이었나 |
HS효성첨단소재 알짜사업을 팔려는 HS효성그룹, 인수합병 능한 조현상 눈이 가는 곳은 |
SSG닷컴 '차은우 부캐 매직' 끈이라도, 최훈학 갈 길이 멀지만 한 걸음 내딛다 |
[이주의 ETF] 키움투자자산운용 'KIWOOM 글로벌투자모빌리티' 8%대 올라 상승률.. |
LG엔솔 주축 LG컨소시엄, 인도네시아 정부와 11조 규모 배터리 프로젝트 철회 |
3강 도약 스마일게이트, '크로스파이어' 의존 높고 후속작 매출 저조 '숙제' |
한화에어로 한화에너지 등 대상 유상증자 결의, 발행가 주당 75만7천 원 '총 1조3천.. |
중소기업 대출 조이는 4대 시중은행, 미국 상호관세 우려에 건전성관리 강화 |
삼성전자·기아 인도 세금 추징에 불복 전망, "무리한 세수 확보" |
엑스알피 가격 저항선 돌파 뒤 급등 가능성 제기, 비트코인 1억2242만 원대 |
엔비디아 반도체 규제 강화는 트럼프 '자충수' 평가, 중국의 기술 추격 앞당겨 |
고려아연 '전기차 캐즘'에 울산 통합 니켈제련소 양산 1년 늦추기로, "공정 보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