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디오드래곤 주식을 사도 된다는 의견이 나왔다.
새 드라마 아스달 연대기의 시청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실적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됐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10일 스튜디오드래곤 목표주가를 기존과 동일한 11만5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스튜디오드래곤 주가는 직전 거래일인 7일 7만3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많은 제작비가 투입된 아스달 연대기 시청률을 향한 기대치 차이로 주가가 급락했다”며 “단기 주가는 시청률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지만 시청률과 실적은 서로 큰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아스달 연대기 시청률은 1회 6.7%, 2회 7.3%, 3회 6.4%를 나타내며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스튜디오드래곤 주가는 첫 방송 뒤 3일 9.35%의 낙폭을 보이는 등 주춤했다.
김 연구원은 2016년 도깨비, 2018년 미스터 션샤인의 예를 들면서 “텐트폴 작품들은 방대한 스토리를 다루기 때문에 초반에 소개 부분 위주로 편성돼 다소 지루할 수 있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완성도가 높아지면서 시청률이 상승한다”고 말했다.
또 아스달 연대기는 시즌2가 확정됐고 시즌3 제작 가능성도 커서 시즌1 초반의 스토리 전개는 다소 느릴 수 있다고 바라봤다.
김 연구원은 시청률과 실적의 단기 연관성이 크지 않다고 바라봤다. 시청률이 광고단가와 판권 판매를 결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광고단가는 동일 시간대의 직전 시청률 및 과거 유사 장르의 시청률 등을 근간으로 정해진다.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의 광고단가는 자연스럽게 높아지지만 시청률이 낮은 드라마가 나오더라도 광고단가는 크게 감소하지 않는다.
또 제작비의 일정 부분은 플랫폼(tvN)이 부담하고 나머지를 제작사인 스튜디오드래곤이 부담하는데 이 부분은 간접광고(PPL)와 넷플릭스 동시방영 등 선판매로 대부분 손익분기점 수준을 확보한 상태로 방영을 시작한 것으로 파악했다.
김 연구원은 “아스달 연대기는 tvN 방영권료와 프로모션 및 판권 선판매로 이미 시즌1의 손익분기점 수준에 도달했다”며 “시즌2 이후의 세트장 비용까지 선반영한 손익분기점이므로 시즌2의 이익 레버리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