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사회

강사법 시행 앞두고 대학 소규모 강좌 줄고 전임교원 강의 늘어

백승진 기자 bsj@businesspost.co.kr 2019-04-30 11:19:0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대학에서 올해 1학기 진행하는 소규모 강좌 수가 지난해 1학기보다 9천여 개 줄고 전임교원의 강의 부담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8월 ‘강사법’ 시행을 앞두고 대학들이 시간강사가 맡던 강좌를 폐지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강사법 시행 앞두고 대학 소규모 강좌 줄고 전임교원 강의 늘어
▲ 교육부 로고.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4년제 196개 대학의 강좌 수와 등록금 현황 등 공시정보 분석자료를 30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 대학에 개설된 강좌는 모두 30만5353개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2.1%(6655개) 줄었다.

이 가운데 수강생 20명 이하 소규모 강좌 비율은 10만9571개(35.9%)로 지난해 1학기보다 7.7%(9086개) 감소했다.

반면 수강생이 50명을 초과하는 대규모 강의는 4만2557개(13.9%)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7.3%(2888개) 늘었다.

전임교원이 담당하는 강의 비율도 늘었다. 1학기 전임교원 강의 담당비율은 66.6%로 지난해 1학기보다 1%포인트 증가했다. 

이처럼 소규모 강좌 수가 줄고 전임교원의 강의 부담이 늘어난 것은 8월 시행되는 강사법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강사법에 따르면 대학은 시간강사에게 법적 교원 지위를 부여하고 방학기간에도 강사에게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강사법 시행이 예고되자 일부 대학에서는 재정 부족을 이유로 시간강사 강의를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에 따르면 올해 4년제 대학 평균 등록금은 연간 670만 원가량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196개 대학 가운데 191개 대학이 등록금을 동결(174개) 또는 인하(17개)했다. 

올해 등록금을 인상한 대학은 서울한영대학교, 세한대학교, 신경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칼빈대학교 등 5개 대학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승진 기자]
비즈니스피플배너

인기기사

포스코퓨처엠 양극재 매출 승승장구, 김준형 밸류체인 확장도 종횡무진 류근영 기자
셀트리온도 뛰어든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경쟁, 국내 첫 신약개발은 누구 임한솔 기자
애플 확장현실 기기 출시 임박, 삼성 SK 메모리사업 반등 속도 높아진다 김바램 기자
소니 'MS-블리자드 인수합병 반대' 이유 있었다, 클라우드게임에 미래 걸려 김용원 기자
남양유업 자금 바닥 보여 유상증자 나서, 주식 소송 대법원 판결이 분수령 이호영 기자
K-관광 전면 나선 김건희, ‘닮은꼴’ 김윤옥 한식 세계화 행보 따르나 김대철 기자
쿠팡플레이에도 밀리는 티빙과 웨이브, 합병설만 나오고 왜 안 합치나 윤인선 기자
DL건설 경기북부 광역철도 수주 노려, 곽수윤 토목사업 비중 확대 가늠자 류수재 기자
하이브 음악에 AI기술 융합 시도, 방시혁 엔터업계 선도자 위치 다지기 임민규 기자
삼성증권 자산관리 저변 확대 성과 입증, 장석훈 '넥스트 스텝'은 IB 김태영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