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인터넷·게임·콘텐츠

페이스북의 망 사용료 지급 합의에 넷플릭스에 시선 몰려

이정은 기자 jelee@businesspost.co.kr 2019-01-28 17:22:2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페이스북이 한국시장 진출 후 처음으로 망 사용료를 내기로 하면서 넷플릭스의 대응에도 시선이 몰린다.  

페이스북은 외국계 기업이 국내 통신망을 무료로 이용해 온 관행을 개선한 첫 사례다.  
 
페이스북의 망 사용료 지급 합의에 넷플릭스에 시선 몰려
▲ 넷플릭스 로고.

28일 정보통신업계에 따르면 페이스북이 SK브로드밴드와 망 사용료 협상을 타결하면서 넷플릭스의 망 사용료와 수익 배분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넷플릭스는 페이스북, 구글과 같이 국내 이동통신사에 망 사용료를 내지 않는다. 

넷플릭스는 페이스북, 구글과 달리 콘텐츠 제작사이기 때문에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구글, 페이스북은 콘텐츠 제공사업자이지만 넷플릭스는 직접 콘텐츠를 제작해 수익을 얻기 때문에 콘텐츠 제작사로서 지상파방송국과 같은 성격을 지닌다.

이와 관련해 방송 관계법의 적용을 받지 않아 일각에서는 법체계를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제시카 리 넷플릭스 아시아태평양 커뮤니케이션 총괄 부사장은 최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망 사용료 지급과 관련해 "상세한 부분은 공유할 수 없다"며 답변을 회피했다. 

넷플릭스는 한국에서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을 놓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국내에서는 통상적으로 콘텐츠 제작사와 유통사의 수익 배분이 5대5로 이뤄지고 있는데 넷플릭스 측은 이와 관련해서도 대답하지 않았다.

넷플릭스는 LG유플러스와 최근 제휴를 맺으면서 9대1 수준으로 수익을 배분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나이젤 뱁티스트 넷플릭스 디렉터는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최대한 좋은 품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며 수익 분배 구조는 공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

최신기사

키움증권 "현대오토에버 목표주가 상향, 환율효과 불확실성 제거 긍정적"
신영증권 "엔비디아 H20 수출 재개로 삼성전자 HBM 수혜, 충당금 환입 가능"
테슬라 '로보택시 올인' 전략 약점으로 지목, UBS "전기차 부진 해결 안 됐다"
키움증권 "HD현대중공업 목표주가 상향, 올해 상선 수주목표 무난히 달성"
LS증권 "가스공사 목표주가 상향, 장기적 요금 인상 가능성 살아 있어"
KB증권 "파라다이스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수혜, 마카오 수요 회복 후광효과"
다올투자 "JW중외제약 2분기 일반의약품 매출 감소, 하반기 수액제 매출 회복 기대"
엔비디아·AMD AI칩 중국 수출 승인, 하나증권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삼성전자 주목"
SK증권 "신세계인터내셔날 주식 '중립'으로 하향, 실적 회복 기대 주가에 이미 반영"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기업가치 4천억 달러 평가, 매출 중 '스타링크' 비중 절반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