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자동차·부품

피아트크라이슬러 CEO “현대차와 인수합병 논의한 적 없다”

임수정 기자 imcrystal@businesspost.co.kr 2017-10-06 14:54:3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피아트크라이슬러 CEO가 현대자동차, 창청자동차 등과 인수합병을 논의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대신 부품 브랜드인 마그네티마렐리를 분사하는 계획을 발표하기로 했다. 

6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세르조 마르키온네 피아트크라이슬러 CEO는 최근 블룸버그TV와 인터뷰에서 인수합병 가능성을 놓고 “현재 빅딜을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피아트크라이슬러 CEO “현대차와 인수합병 논의한 적 없다”
▲ 세르조 마르키온네 피아트크라이슬러 CEO.

중국 창청자동차와 현대차가 피아트크라이슬러를 인수할 가능성이 잇달아 제기됐지만 마르키온네 CEO는 현대차와 합병을 논의한 적이 없으며 창청자동차로부터 어떠한 제안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는 “마르키온네 CEO는 대신에 2018년까지 부채감축 목표를 달성하고 2022년까지의 사업전략을 세우고 후임자를 물색하는 데 우선순위를 둘 것”이라고 바라봤다. 마르키온네 CEO는 2019년 퇴임을 앞두고 있다.

마르키온네 CEO는 2018년에 중장기 사업전략을 발표할 때 부품 브랜드인 마그네티마렐리를 분사하는 방안을 담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마그네티마렐리를 분사하는 방안은 피아트 주주들에게 최선의 방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피아트크라이슬러는 매각을 앞두고 마그네티마렐리를 분사해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가 전장부품 사업을 확대하면서 마그네티마렐리를 인수할 가능성이 나오기도 했다. 

피아트크라이슬러는 중장기 사업전략에서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방점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마르키온네 CEO는 블룸버그를 통해 “유럽 (친환경차 정책의) 시행일정에 따라 우리는 전기차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뒤처질 것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며 “자동차산업은 매우 느리게 변화하는 산업이고 의사결정 과정도 더디게 진행되는 반면 (미국 전기차회사 테슬라의 CEO인) 일론 머스크는 로켓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

인기기사

HD한국조선해양 카타르 훈풍에 고가 일감 가득, 정기선 업황 변동도 '자신' 류근영 기자
킨텍스 제3전시장 발주 가시화, '6천억' 공사에 대형 건설사 총출동 전망 류수재 기자
삼성전자는 '인간형 로봇’ LG전자는 ‘서빙·물류로봇’, 로봇사업 다른 길 이유 조장우 기자
삼성전자 갤럭시S24 울트라 원가 부담 커진다, 노태문 가격 경쟁력 유지 총력 김바램 기자
강동원 등에 업고 손익분기점 노리는 ‘천박사’, CJENM 고민 여전히 깊은 이유 윤인선 기자
LG엔솔 유럽 입지 '단단', EU의 중국 견제 더해져 비중국 세계1위 '청신호' 류근영 기자
SM엔터테인먼트 라이즈로 보이그룹 명가 증명, 올해 사상 첫 매출 1조 기대 조충희 기자
한국전력 전기요금 인상 절실, 김동철 ‘전제조건’인 자구안 마련 총력 태세 이상호 기자
‘추캉스’ 아직 끝나지 않았다, 서울 낙산성곽 걷고 한강 드론쇼에 전통연희 보고 박혜린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중동 3개국 현장 방문, “중동은 미래 먹거리·기술 보고” 김바램 기자
비즈니스피플배너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