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소비자·유통

이원준, 롯데 유통그룹장 맡아 내수침체 극복 총지휘

조은아 기자 euna@businesspost.co.kr 2017-02-22 16:33:2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이원준 롯데쇼핑 대표가 롯데그룹 유통BU장을 맡으면서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22일 실시된 롯데그룹 유통 계열사 인사에서 이원준 롯데쇼핑 대표가 유통BU장을 맡고 부회장에 오르는 겹경사를 맞았다.

  이원준, 롯데 유통그룹장 맡아 내수침체 극복 총지휘  
▲ 이원준 롯데그룹 유통BU장(부회장).
이 부회장은 최근 몇년 동안 실적부진으로 그룹 내 위상이 크게 떨어진 유통사업을 강화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국내 유통사업은 최근 몇년 동안 이어진 불황과 내수침체로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특히 한때 롯데쇼핑의 성장을 이끌었던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온라인쇼핑의 발달과 1인가구 증가, 경쟁심화 등으로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부회장은 앞으로 백화점과 대형마트, 슈퍼, 영화관, 드러그스토어 사업본부로 구성된 롯데쇼핑과 롯데하이마트, 코리아세븐, 롯데닷컴, 롯데홈쇼핑 등 다른 유통 계열사의 시너지를 내는 데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온라인 및 모바일쇼핑의 성장세에 대비해 옴니채널 구축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옴니채널이란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바일 등 모든 쇼핑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소비자가 마치 하나의 매장을 이용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매장의 쇼핑환경과 사용자 경험을 융합하는 것을 뜻한다.

롯데그룹은 백화점부터 편의점까지 다양한 유통망을 보유해 옴니채널을 통해 강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부회장은 그동안 롯데쇼핑의 발목을 잡아온 해외사업 부진도 극복해야 한다. 롯데쇼핑은 중국 백화점 개점을 시작으로 중국시장에 진출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누적손실만 조 단위에 이른다.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이 한때 “신동빈 회장이 중국에서 1조 원가량 손실을 본 사실을 신격호 총괄회장에게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등 중국사업은 신동빈 회장에게 아킬레스건이 되고 있다.

최근 중국정부가 롯데그룹의 사드부지 제공을 놓고 연일 관영언론을 통해 롯데그룹을 강도 높게 비판하는 등 중국시장에서 불확실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 부회장은 신동빈 회장의 최측근으로 롯데그룹에 공채로 입사해 23년 동안 롯데백화점에서 근무한 유통전문가다. 롯데백화점의 상품본부 영업본부장과 롯데미도파 대표이사, 롯데역사 대표이사, 롯데면세점 대표 등을 두루 거쳤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

최신기사

중국 전기차 '출혈 경쟁' 시진핑도 손 쓰기 어렵다, 무리한 육성 정책 후폭풍
우리은행 정진완의 공격 경영, 자본비율 열세에도 중소기업 품고 기업금융 강화
포스코이앤씨 '베트남판 판교' 재도전 모색, 정희민 해외사업 확장 본격화하나
"인텔 18A 반도체 수율 삼성전자 2나노에 우위", 첨단 파운드리 경쟁 지속
키움증권 "신세계 주주환원정책 적극성 확대, 배당성향 상향될 가능성"
[부동산VIEW] 6·27대책 이후에도 고삐 조이는 이재명 정부, 시장은 어디로?
키움증권 "GS리테일 하반기도 업황 반전 어려워, 민생지원금으로 일부 방어"
이재명 정부 RE100 속도 낸다, 산단 이어 에너지 '계획입지제도' 도입하나
키움증권 "BGF리테일 2분기 매출 성장률 기대이하회, 고정비 증가 부담"
[여론조사꽃] 김건희 구속수사 '필요하다' 80.6%, TK지역도 75.0%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