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혜경 기자 hkcho@businesspost.co.kr2025-09-29 17:33:27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금융감독원이 금융소비자보호를 중심으로 조직과 문화를 전면 개편한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소비자보호 문화를 조직 내 확산·내재화하겠다는 의지를 알리는 ‘전 임직원 결의대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 금융감독원이 금융소비자보호를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한다.
이 결의대회는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 내용이 담겼던 정부 조직개편안 철회에 대한 응답으로 추진됐다. 금융감독원 자체적으로 소비자보호 강화를 고민하겠다는 뜻이다.
먼저 금융감독원은 사전예방적 소비자보호 강화 태스크포스(TF)를 ‘금융소비자보호 기획단’으로 확대·개편했다. 단장은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이 맡는다.
10~12월에는 학계·업계, 소비자단체, 연구소 등 분야별 전문가 패널이 참여하는 금융소비자보호 토론회를 연다는 계획도 세워뒀다. 토론회에서 발굴한 과제는 금융소비자보호기획단에서 검토한다.
금융감독원장을 포함한 모든 경영진이 직접 금융소비자 금융상담과 민원처리를 수행하는 ‘경영진 민원상담의 날’도 실시한다.
금융감독원 조직도 금융소비자보호 중심으로 개편된다.
금융감독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는 ‘소비자보호 총괄본부’로 격상한다.
또한 각 권역 본부는 ‘민원·분쟁–상품심사–감독·검사’ 등을 동일 임원 책임 아래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도록 조직개편을 추진한다.
불법사금융·보이스피싱·보험사기 등 민생침해 금융범죄에 종합적·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력·조직을 보강한 ‘민생범죄대응총괄단’도 가동하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금융감독원은 금융소비자보호기획단 운영, 금융소비자보호 중심 조직개편 결과 등을 바탕으로 2026년에 ‘금융소비자보호 혁신 국민보고대회’를 연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조직 운영·인사·업무절차 등을 금융소비자보호 중심으로 전면 개편해 완전히 새로운 조직으로 재탄생해야 한다”며 “금융소비자에게는 열린 조직이 되고 공정한 룰을 어긴 금융회사에 대해 엄격한 심판자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