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다음 주 발표될 미국 경제지표 결과에 따라 코스피지수가 일시적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분석됐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26일 “다음 주 코스피지수는 3200~3500포인트 사이를 오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는데 9월 미국 고용·물가 지표가 기대 심리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다음 주 코스피지수가 3200~3500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됐다. <연합뉴스> |
현지시각으로 10월1일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구매관리자지수(PMI), 제조업 물가지수 등이 발표된다.
만약 지표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나면 코스피 단기 조정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에 대한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달러 강세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시장에서는 이미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진 상태다.
이날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10월 FOMC에서 미국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것이란 전망은 85.5%다.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은 14.5%에 그친다.
코스피 조정이 현실화된다면 반도체 실적 전망 개선과 글로벌 인공지능(AI) 전환 수혜가 예상되는 AI 소프트웨어, 로봇 업종 중심 매수 대응이 유효할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정지(셧다운) 우려도 증시 조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됐다.
나 연구원은 “미 연방정부의 회계연도 마감일(9월30일)이 임박하면서 예산안 부결에 따른 셧다운 가능성이 제기된다”며 “셧다운 우려는 결국 해소되겠으나 차익실현 매물 출회의 빌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조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