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결제 피해와 해킹 범위가 확대되고 있어, 가입자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전면 유심 교체 요구도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불법 초소형 불법 기지국에 의한 네트워크망 해킹 이후 범행 용의자는 검거됐지만, 말단 조직원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유출 규모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15일에는 외부 보안업체로부터 서버 침해 흔적 4건과 의심 정황 2건을 통보받으면서, KT는 18일 KISA에 추가 침해를 신고했다.
게다가 소액결제 피해 지역도 당초 서울 서남권과 경기 일부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서초구·동작구와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으로 확산됐다.
특히 SK텔레콤 사례와 달리 금전적 피해까지 발생하면서 KT 가입자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시민단체와 정치권도 KT를 향한 유심 교체 압박을 키울 것으로 예상된다.
한석현 서울YMCA 시민중계실장은 지난 15일 KT 서울 광화문 사옥 앞에서 열린 ‘이통사 해킹 사태 해결 촉구 소비자 시민단체 공동기자회견’에서 "KT 전 가입자와 KT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사용자까지 포함한 유심 교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날 한 실장은 “핵심 유심 데이터 유출로 인한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선제적 차단 조치를 취해야 하며, 국민의 재산권 침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오는 24일 열리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청문회에서 김영섭 KT 사장이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인데, 여야 의원들은 전면 유심 교체가 필요하다고 압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 KT가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유심 교체를 시행할 경우 약 1500억 원 규모의 일회성 비용이 발생하며 상당한 재무적 부담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KT가 유심을 전체 가입자를 대상으로 전면적으로 교체한다면 상당한 재무적 부담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SK텔레콤이 2300만 명 전체 가입자 교체와 대리점 손실 보상에 약 2500억 원의 일회성 비용을 투입했던 것과 비교하면, KT도 2025년 7월 기준 전체 가입자 1370만 명을 대상으로 교체를 진행한다면 약 1490억 원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가입자 규모가 SK텔레콤보다 적어 전체 교체 비용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실적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는 액수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KT 소액결제 해킹 용의자가 검거됐지만 오히려 파장이 커지는 상황으로, 현재 피해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고 향후 추가 범행 방지가 중요해진 상황”이라며 “고객 피해 보상과 보안 투자에 대한 요구가 거세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조승리 기자
(나의 경우):
저는 4월 15일 학원 강사님께 받은 스타벅스 1년 유효 쿠폰을 카카오톡으로 받은 뒤 삼성 월렛에 보관했습니다. 그러나 한 달 뒤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미금역 인근 매장’에서 사용완료 처리된 사실을 카카오회사로부터 확인했습니다.
저는 해당 지역에 간 적이 전혀 없습니다. KT 고객센터는 “KT 해킹과 무관하다”며 단순히 1개월 TV와 인터넷사용료 차감을 보상으로 사태의 심각성을 가볍게 여기며 간단히 덮을려고 제안했습니다.
이는 (2025-09-23 23:3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