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현황판 앞에서 6월24일 한 트레이더가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한국 대기업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할 기회를 맞고 있다는 일본매체 논평이 나왔다.
기업이 먼저 지배구조 개선에 나서면 ‘코리아 프리미엄’을 누릴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왔다.
패트릭 윈터 언스트앤영(EY) 아태지역 대표는 29일 닛케이아시아에 기고한 논평을 통해 "한국 대기업이 법제화 이전에 지배구조 개선에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6월4일 취임 이후 기업 지배구조 개혁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이에 발맞춰 한국 국회는 7월3일 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까지 확대하고 감사위원을 선임할 때 최대 주주의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업이 배당을 늘리도록 유도하는 차원에서 소득세법을 개정해 배당 소득을 분리해 과세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을 도입하기 전에 기업이 먼저 배당을 늘리고 지배 구조를 개선하면 주가 부양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패트릭 윈터 대표는 “선견지명을 가진 한국 기업이라면 법 개정을 기다리지 말아야 한다”며 “미리 움직이는 기업은 프리미엄을 확보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한국 증시에는 상장기업 가치가 저평가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이 오랜 기간 나타나고 있다.
재벌 오너일가 중심의 복잡한 지배구조가 원인이라고 닛케이아시아는 지목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이 재벌기업의 계열사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올해 6월 초 기준 국내 대형 상장사의 주가수익비율(PER) 평균은 10.35배로 전 세계 주식시장 평균인 20배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주가수익비율은 회사의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이 비율이 낮다는 건 주가가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낮다는 얘기다.
한국 정부는 2024년 2월에 기업 가치 증대 프로그램인 일명 ‘밸류업’을 발표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이어지면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한다.
자동차와 전자, 금융 등 일부 한국 기업은 밸류업 기조에 호응해 자사주 매입 방식으로 주가를 부양했다.
일본이 밸류업과 유사한 조치를 내놓은 뒤 닛케이225 지수가 2023년 초부터 2024년 3월까지 56% 상승했다는 사례도 닛케이아시아는 제시했다.
패트릭 윈터 대표는 “인공지능 경쟁과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공급망을 새로 짜는 시기에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자본 조달 어려움을 가져온다”며 “한국에서 기업 지배구조가 개선되고 있다는 확신이 퍼지면 미리 움직인 기업은 코리아 프리미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