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 중국 일본 등 네 나라 주식부자들 가운데 상속형부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으로 나타났다.
4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미국 포브스에서 집계하는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일본 등 4개국 상위 주식부자 160명(국가별 상위 40명)의 2007년~2017년 재산현황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부자들은 40명 가운데 25명이 상속형으로 그 비율이 62.5%에 이르렀다.
| |
![서경배, 한국 주식부자 중 재산증가율 압도적 1위]() |
|
| ▲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왼쪽)과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 |
이는 미국 10명(25.0%), 일본 12명(30.0%)에 비해 월등히 높다. 중국은 상속형부자가 단 1명(2.5%)에 그쳤고 나머지는 모두 창업을 통해 부를 이룬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는 10년 전에도 40명 가운데 77.5%인 31명이 상속형 부자로 4개국 가운데 비중이 가장 높았다. 당시 미국은 18명(45.0%)으로 2위였고, 일본은 14명(35.0%)이었다. 중국은 그때도 상속형 부자가 1명 뿐이었다.
우리나라 최고부자는 총 126억 달러 (약 15조 2308억 원)의 재산을 보유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으로 나타났다.
2위는 84억 달러를 소유한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고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62억 달러로 3위,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48억 달러로 4위, 김정주 넥슨 창업자가 41억 달러로 5위에 올랐다.
반면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3.1%),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10.5%),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21.2%),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30.2%),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47.8%) 등은 10년 전에 비해 재산이 줄었다.
4개국 가운데 지난 10년 동안 부자들의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나라는 중국이고 우리나라는 2위로 집계됐다.
한국에서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의 재산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서 회장의 보유 재산은 10년 전 11억 달러에서 84억 달러로 663.6%나 급증해 국내 부자 가운데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오은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