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후대응
Who Is?
기업·산업
금융
시장·머니
시민·경제
정치·사회
인사이트
JOB+
최신뉴스
검색
검색
닫기
시장과머니
증시시황·전망
코스피 외국인·기관 순매도에 2590선 하락 마감, 원/달러 환율 1381.3원
박재용 기자 jypark@businesspost.co.kr
2025-05-22 16:54:29
확대
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코스피지수가 하락해 2600선을 내줬다.
22일 코스피지수는 전날보다 1.22%(31.91포인트) 내린 2593.67에서 장을 마감했다.
▲ 22일 코스피지수가 전날보다 1.22%(31.91포인트) 내린 2593.67에서 마쳤다. 사진은 이날 장 마감 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연합뉴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투자자가 각각 4832억 원어치와 4320억 원어치를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9449억 원어치를 순매수 하며 지수 하단을 방어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주가는 일제히 내렸다.
하락폭은 현대차(-2.98%) 기아(-2.19%) 삼성바이오로직스(-1.82%) 삼성전자(-1.80%) SK하이닉스(-1.80%) KB금융(-1.33%) HD현대중공업(-1.25%) 삼성전자우(-1.19%) LG에너지솔루션(-1.08%) 한화에어로스페이스(-0.48%) 순이었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0.82%(5.95포인트) 내린 717.67에서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투자자와 기관투자자는 코스닥 시장에서도 각각 551억 원어치와 575억 원어치를 순매도했다. 개인투자자는 1167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주가 흐름은 엇갈렸다.
리가켐바이오(1.19%) 펩트론(0.96%) HLB(0.95%) 에코프로(0.73%) 파마리서치(0.23%) 등 5개 종목이 상승세로 마쳤다. 휴젤(-2.73%) 클래시스(-1.52%) 레인보우로보틱스(-1.48%) 알테오젠(-0.77%) 에코프로비엠(-0.34%) 등은 하락세로 마쳤다.
이날 오후 3시30분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5.9원 내린 1381.3원에 주간거래를 마쳤다. 박재용 기자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박재용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씨저널
C
스토리
네이버 주가 도대체 왜 못 오르나, 이해진 최수연 '돈 버는 로드맵' 내놓아야 하는 이유
SM그룹 계열사끼리 꼬리 무는 지원, 우오현 비상장 중심 지배구조 유지하는 이유인가
SM그룹 후계자 우기원 승계의 무거운 숙제, 아버지 우오현 측근들이 안고 있는 사법 리스크
많이 본 기사
1
두산에너빌리티 유럽서 원전 입지 단단해져, 박지원 주기기 수주 기대 커져
2
SK온 현대차-LG엔솔 공장 건설 지연에 현대차에 대체 공급, 이석희 북미 가동률 상승..
3
엔비디아 HBM4 성능 상향 요구에 마이크론 진땀, 삼성전자 내년 HBM4 입지 더 커..
4
이재명 '신규 원전 불가론' 일파만파, "지을 땅 없고 15년 걸려"에 갑론을박
5
삼성전자, 엔비디아 추론용 AI칩 '루빈CPX'에도 GDDR7 공급 가능성
Who Is?
황병우 iM금융지주 회장 겸 iM뱅크 행장
부동산PF 여파 털고 실적 정상화 원년, '전국구' 은행 안착 힘써 [2025년]
이병학 농심 대표이사 사장
현장근무만 36년 생산전문가, 해외실적 개선 · 주주가치 제고 과제로 [2025년]
김윤식 신용협동조합중앙회 회장
위기해결 능숙한 소방수형 경영인, 임기말 실적 반등 시험대 [2025년]
배형근 현대차증권 대표이사 사장
유증 등 통해 재무건전화 체질개선 추진, 실적 회복은 과제 [2025년]
최신기사
여당 "25일까지 금감위 설치법안 통과 야당 설득, 안 되면 패스트트랙 지정"
이동통신 3사, 아이폰17 시리즈 공통지원금 최대 45만 원 예고
지난해 사이버 사기 피해 3조4천억 전년 대비 88% 늘어, 검거율은 절반 수준
현대경제연구원 올해 경제성장률 1.0%로 상향 조정, 내년은 1.9% 제시
8월 ICT 수출 역대 최대, AI 수요 증가에 반도체 수출 27% 증가
2차 소비쿠폰 안내문자 URL 100% 스미싱, "절대 클릭금지"
이억원 금융위원장 취임, 기능이관ᐧ배드뱅크ᐧ가계부채 포함 현안 산적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포화위기 내년부터 본격화, 고리 원전 95% 넘어서
한국 국민소득 2027년 4만 달러 돌파 전망, 올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가능성
9월 가계대출 규제로 주담대 1년 반 만에 감소세, 실수요자 대책 마련 과제
댓글 (0)
등록
-
200자
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