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기타

최근 5년 금융권 전산장애 1763건, 카카오뱅크 64건으로 가장 많아

박혜린 기자 phl@businesspost.co.kr 2025-05-20 17:22:3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국내 금융회사에서 최근 5년 동안 전산장애 1763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5월까지 국내 금융권 전산장애 발생건수는 1763건, 장애시간은 48만4628시간으로 집계됐다.
 
최근 5년 금융권 전산장애 1763건, 카카오뱅크 64건으로 가장 많아
▲ 최근 5년 은행과 증권, 보험, 저축은행, 카드사 등 금융권에서 크고 작은 전산장애 1763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산장애에 다른 피해금액은 295억432만 원이다. 이는 소비자 배상과 시스템 복구 비용 등을 더한 금액이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업권 전산장애가 577건(21만6436시간)으로 가장 많았다.

발생건수 1위는 카카오뱅크(64건)였고 우리은행은 전산장애 시간이 6만7836시간으로 가장 길었다.

증권업권은 피해금액이 가장 컸다. 

최근 5년 증권업권 전산장애에 따른 피해금액은 262억8293만 원으로 전체의 89.1%를 차지했다. 

2020년 키움증권 프로그램 오류에 따른 전산장애 피해금액이 47억669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2021년 미래에셋증권(39억1929만 원), 2022년 한국투자증권(25억2630만 원) 등의 전산장애 피해금액이 그 뒤를 이었다.

발생원인은 프로그램 오류가 722건으로 가장 많았고 시스템·시설·설비장애가 564건, 외부요인에 따른 장애 366건, 인적재해 106건 등 순으로 파악됐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권 전산장애 사고는 결국 소비자의 잠재적 피해 가능성을 높인다”며 “금융당국이 금융사 IT 실태점검과 관련 가이드라인 추가 검사 및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

최신기사

SK온 최고재무책임자 김경훈, 6월 SC제일은행 부행장으로 돌아간다
상상인증권 "동국제약 기업가치 저평가될 이유 없다, 뷰티사업 고성장 중"
하나증권 "GS리테일 1분기 모든 사업부 부진, 편의점 실적 회복이 관건"
하나증권 "BGF리테일 2~3분기 성수기 실적 중요, 업황 회복 판단의 잣대"
하나증권 "신세계 백회점은 안정적 실적 유지, 면세점 턴어라운드가 관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규모 확대 가능성, 6월 말 최종 발행가액 확정
한화갤러리 백화점 실적 둔화에 존재감 옅어져, 김동선 시선은 식음료 쳐다본다
'아우디 Q4 e-트론' 집단분쟁조정 절차 시작, 에어컨 결함 무상수리 요구
미국 '중국산 배터리 소재'에 상계관세 부과하기로, 전기차 가격 상승 전망
하나증권 "현대백화점 하반기 백화점 성장률 회복, 면세점·지누션 실적 개선"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