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화학·에너지

트럼프 파리협정 탈퇴에 미국 화석연료 기업 '떨떠럼', "투자 계획에 방해" 

이근호 기자 leegh@businesspost.co.kr 2025-01-23 10:53:5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트럼프 파리협정 탈퇴에 미국 화석연료 기업 '떨떠럼', "투자 계획에 방해"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0년 7월29일 텍사스주 미들랜드에 위치한 더블 이글 유정을 방문해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화석연료 증대로 정책 방향을 잡고 그 일환으로 파리협정 탈퇴를 선언했지만 이런 행동이 자국 석유 및 가스 기업에 오히려 부정적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화석연료 기업은 파리협정에 맞춰 글로벌 에너지 사업을 조정해 왔는데 협정 탈퇴로 통일된 기준이 사라져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23일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 석유 및 가스 사업체는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협정 탈퇴가 투자 계획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바라보고 있다. 

파리협정은 지구 평균 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시기와 비교해 2도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당사국에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15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에서 채택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20일 취임 직후 파리협정에서 탈퇴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석유와 가스 시추를 전면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는데 화석연료 기업에 달갑지만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보험 법률회사인 클라이드앤코 소속 윈 로렌스 기후 소송 전문가는 “트럼프의 정책 변동성은 미국 에너지 기업에 리스크”라고 평가했다. 

미국 에너지 업계는 파리협정 탈퇴로 회사가 서로 다른 규제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엑손모빌을 비롯한 미국 정유사는 파리협정에 맞춰 녹색 수소와 탄소 포집 등 친환경 기술에 중장기 투자를 계획했는데 수정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미국 정부가 글로벌 에너지 전환 과정에 영향력이 제한돼 기업 이해관계를 대변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도 거론됐다. 

미국 상공회의소의 마티 더빈 에너지연구소 회장은 “화석연료 기업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파리협정에 계속 참여시키도록 내심 바랐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근호 기자

최신기사

내란 특검팀 "전 검찰총장 심우정, 21일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
민주당 김병기 "MBK 김병주, '매수자 결정 전 홈플러스 폐점 없다' 약속"
[이주의 ETF] 신한자산운용 'SOL 미국양자컴퓨팅TOP10' 24%대 올라 상승률 ..
넥스트레이드 거래종목 650개로 축소, 22일부터 66개 종목 거래 중단
신라면세점 '밑 빠진 독' 인천공항점 버렸다, 김준환 수익성 개선 능력 본격 시험대
[19일 오!정말] 국힘 송언석 "(통일교 신도) 12만 명은 당원 포함 개연성 많아"
KB금융 회장 양종희 테더USAT 최고경영자 만난다, 스테이블코인 사업협력 논의
민주당 3대특검 특위 "통일교 대선개입 입증되면 정당해산·윤석열 당선 무효"
HD현대중공업 노사 임금협상 타결, 찬성률 59.56%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 합..
코스피 3440선 하락 마감하며 '숨고르기', 코스닥은 860선 상승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