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인터넷·게임·콘텐츠

네이버 검색 점유율 9년 새 20%포인트 하락, AI 검색시대 낙오 위기

정희경 기자 huiky@businesspost.co.kr 2024-11-18 17:13:5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인공지능(AI) 검색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내 검색 시장에서 네이버 점유율이 최근 9년간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18일 집계됐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발간한 'ICT 브리프 2024 39호'에 따르면 인터넷 트렌드 집계 기준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검색 시장 점유율은 네이버가 57.32%로 1위를 기록했다. 구글(33.9%), 다음(3.87%), 마이크로소프트(2.92%)가 그 뒤를 이었다.
 
네이버 검색 점유율 9년 새 20%포인트 하락, AI 검색시대 낙오 위기
▲ 네이버의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이 9년 동안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9년 전과 비교하면 네이버, 다음 등 국내 검색엔진 의존도가 큰 폭으로 낮아졌다. 

네이버 점유율은 같은 기간 2015년 점유율 78.06%에서 20% 이상 줄어들었다. 다음도 11.75%에서 8% 가량 줄었다. 

반면 구글(7.31%)은 점유율이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향후 AI 검색엔진이 등장하면서 전통 검색엔진 시장 판도를 바꿀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빅테크들의 공세에 대응할 혁신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봤다. 

지난 10월31일 오픈AI가 '챗GPT 서치'를 출시하면서 검색엔진 시장에 진출했다. 

이 외에도 오픈AI 개발자들이 개발한 퍼플렉시티, 오픈AI 거대언어모델(LLM)을 적용한 '뉴 빙', 구글의 'AI 오버뷰' 등이 대항마로 꼽힌다. 메타도 메타 AI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검색엔진 개발에 착수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생성형 AI 기술 등장으로 기존 검색 엔진 사용 횟수가 현재 수준 대비 25%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측은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AI 검색엔진이 등장하면서 기존 키워드 중심의 전통 검색엔진 시장을 재편할 것"이라며 "AI 검색엔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다각적 노력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네이버는 MS·구글 등 빅테크와 비교해 AI 서비스가 미약하다는 평을 받는 가운데, 생성형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 '큐'(CUE:) PC 버전에 대한 시범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정희경 기자

최신기사

[씨저널] 호남 인구 줄어드는데 JB금융지주 지속가능성은 어떻게, 김기홍 새 고객 찾고..
김기홍 JB금융지주 주주환원율 45% 조기달성 눈앞, 이사회 독립성 다양성 전문성 '합..
JB금융지주 전문경영인 회장 9년 김기홍 비결은 순이익과 주가, 사업 다각화는 아쉬워
[채널Who] 메가커피 각종 논란 딛고 지속성장할까, 저가커피 1위 만든 김대영 전략
롯데리아 K-버거로 미국에서 성공할까, 롯데GRS 실적 부진 끊어낸 차우철 매직 주목
버거킹 사모펀드 투자회수로 부채비율 늘어, 이동형 대주주 이익과 재무건전성 사이 '딜레마'
주인 바뀐 한국맥도날드 성장전략 직영점과 드라이브스루, 마케팅 강한 김기원 흑자 밀고 간다
[씨저널] DL그룹 창업주 이재준부터 오너 3세 이해욱까지, 명예회장 이준용의 가족과 혼맥
국가 AI전략위 8개 분과위 구성, 동국대 교수 고삼석 포함 52명 추가 합류
현대차 대표 무뇨스 "미국 내 제조 의지 확고, 임직원 안전 근무에 총력"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