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건설

SK에코플랜트 서울 강남에 '드파인' 만지작, 박경일 알짜 도시정비 수주 집중

장상유 기자 jsyblack@businesspost.co.kr 2024-01-22 16:57:1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SK에코플랜트 서울 강남에 '드파인' 만지작,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40239'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박경일</a> 알짜 도시정비 수주 집중
박경일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도시정비사업 신규수주에 공을 들일 것으로 보인다.<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SK에코플랜트가 서울 강남권에 최초 ‘드파인’ 적용을 검토하는 등 올해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도시정비사업 수주에 집중하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은 수익성이 높은 도시정비 사업 수주를 통해 여전히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주택·건설사업의 실적 기반을 다지려는 것으로 파악된다.
 
22일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이날 입찰을 마감한 서울 신반포27차 재건축사업에 강남권 최초로 하이엔드 브랜드 ‘드파인(DEFINE)’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 서울 강남에 '드파인' 만지작,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40239'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박경일</a> 알짜 도시정비 수주 집중
박경일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

신반포27차 재건축사업은 서울 서초구 잠원로8길 3 일대에 지하 5층~지상 28층 규모의 아파트 2개 동, 모두 210세대 및 부대복리시설을 짓는 사업이다. 이날 입찰에는 참여한 시공사가 없어 1차 유찰됐지만 앞서 있었던 현장설명회에 8개 건설사가 참여해 주목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이날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적극적으로 수주를 검토하고 있다”며 “또 강남권 최초로 드파인을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드파인은 2022년 8월 출범한 SK에코플랜트의 하이엔드 주택브랜드이다. SK에코플랜트는 지금까지 서울 광장동 삼성1차아파트 재건축, 노량진2·7구역 재개발, 이촌우성아파트 리모델링과 부산 광안2구역 재개발에 드파인을 적용했다.

신반포27차 드파인 적용은 올해 사업성 높은 서울과 수도권에 더욱 힘을 싣으려는 박 사장의 도시정비 수주전략에 따른 것으로 읽힌다.

SK에코플랜트는 현재 신반포27차 재건축 이외에도 연초부터 서울과 수도권 여러 곳에서 도시정비사업 수주를 바라보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5일 경기 성남시 중2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현장설명회, 16일 서울 중랑구 중화우성타운 재건축사업 2차 현장설명회 등에 참석하며 서울과 수도권 도시정비 물량을 확보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중2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은 26일 입찰을 마감한다. 중화우성타운 재건축사업은 2차 현장설명회까지 SK에코플랜트만 단독으로 참석해 수의계약을 통한 수주가 유력하다.

SK에코플랜트는 20일 2151억 원 규모 서울 강북구 미아11구역 재개발사업을 따내며 대형건설사 가운데 올해 처음으로 도시정비 신규수주 실적을 확보하기도 했다.

박 사장은 대표이사 선임 뒤 이어 온 SK에코플랜트 도시정비사업의 좋은 수주 흐름을 올해도 이어가려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9월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에 오른 박 사장은 ‘친환경에너지기업’으로 전환에 가장 공을 들이고 있지만 도시정비로 대표되는 주택·건설사업의 끈도 놓지 않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 도시정비사업에서 지난해(1조2980억 원)와 비슷하거나 소폭 늘어난 규모의 신규수주를 기록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파악된다.

SK에코플랜트는 박 사장이 취임한 2021년에는 4363억 원의 도시정비 신규수주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대형건설사 가운데 가장 저조한 수치였다.

그러나 박 사장이 본격적으로 경영에 나선 2022년에는 6년 만에 도시정비 신규수주 1조 원을 넘기면서 1조5207억 원이라는 역대 최고기록을 세웠다. 지난해까지 2년 연속 도시정비 신규수주 1조 원 이상을 기록했다.

SK에코플랜트는 박 사장 체제 아래에서 드파인을 내놓으며 도시정비사업에 힘을 주기도 했다.

박 사장은 취임 후 공격적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환경사업과 에너지사업을 키웠고 이를 통해 가파른 실적 성장을 이뤄왔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1~3분기 연결기준 매출 6조5139억 원, 영업이익 2982억 원을 거뒀는데 이는 2022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은 33%, 영업이익은 76% 증가한 것이다. 앞서 2021년과 비교한 2022년 연간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2%, 35% 늘었다.
 
SK에코플랜트 서울 강남에 '드파인' 만지작,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40239'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박경일</a> 알짜 도시정비 수주 집중
▲ SK에코플랜트가 드파인을 적용하는 이촌우성아파트 리모델링사업 투시도. < SK에코플랜트 >

SK에코플랜트의 환경·에너지사업 합산 매출과 영업이익은 2020년 연간 각각 9541억 원, 180억 원에서 지난해 1~3분기 2조2846억 원, 410억 원으로 불었다. 같은 기간 환경·에너지사업 매출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3%에서 35.0%로, 영업이익 비중은 12.2%에서 13.4%로 확대됐다.

그러나 주택·건설 부문 역시 박 사장의 친환경사업 확장 기조 속에서도 꾸준히 실적을 내는 주요 부문으로 자리잡으며 1조 원 이상 매출을 내고 있다.

SK에코플랜트 주택·건설사업 매출은 2020년 1조9641억 원을 낸 뒤 지난해에는 3분기까지 1조4926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매출 비중도 2020년 31.6%보다는 적지만 2023년 3분기 누적 기준 22.9%를 나타내고 있다.

주택·건설사업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1~3분기에는 건설경기 악화 탓에 197억 원(비중 6.6%)에 그쳤지만 2022년까지만 해도 전체의 절반이 넘는 913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SK에코플랜트의 국내 민간 수주실적을 봐도 13개 가운데 8개가 도시정비사업이다. 향후 꾸준히 주택·건축사업의 실적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환경·에너지사업의 실적이 크게 증가하면서 주택·건축사업의 비중은 줄었지만 매출 규모 자체는 지속해서 유지하고 있다”며 “최근 마수걸이 수주를 교두보 삼아 양질의 도시정비사업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

최신기사

BGF 차남 홍정혁 반도체·2차전지 소재로 영토 확장, 소재기업 계열분리 발판 놓다
BGF 장남 홍정국 GU편의점 해외로, BFG리테일 정체 돌파구 찾아야 미래 열 수 있다
홍석조 결단이 만들어낸 CU편의점 급성장, BGF 블록딜 거래 지분 승계는 '옥에 티'
[데스크리포트 8월] '진짜 성장' 내세운 이재명 정부의 애매한 '실용주의'
[채널Who] 사법 리스크 벗은 이재용이 삼성 컨트롤타워 부활한다면, 두 가지 시나리오..
대한항공 미국 보잉 737-10호기 첫 도입, 2029년까지 12대 구매 예정
포스코이앤씨 인프라 수주 잠정 중단, 송치영 "안전관리 시스템 근본적 개편"
풀무원 냉동김밥 '하우츠' 흥행 열기, 이우봉 중국서 넝쿨째 굴러운 기회 잡다
하이브 2분기 매출 7056억·영업이익 659억, "역대 2분기 최고 매출"
SM엔터 2분기 영업이익 476억 내 92% 늘어, "음반 판매·MD 매출 견인"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