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10대그룹 총수와 총수일가 지분율 갈수록 줄어

조은아 기자 euna@businesspost.co.kr 2016-09-04 15:12:29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국내 10대그룹 총수가 보유한 계열사 지분율이 지난해보다 평균 0.14%포인트 줄었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과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지분율은 늘어났다.

  10대그룹 총수와 총수일가 지분율 갈수록 줄어  
▲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4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4월 말 기준으로 10대그룹 총수들이 보유한 상장 및 비상장 계열사 지분율은 평균 0.11%로 잠정 집계됐다. 1년 전의 0.25%보다 0.14%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총수일가의 지분율도 0.31%로 같은 기간 0.42%포인트 줄어들었다.

40대그룹으로 범위를 넓히면 총수 지분율은 평균 0.08%, 총수일가 지분율은 0.15%로 더 떨어진다.

10대그룹 총수와 총수일가의 보유 지분율이 1년 만에 큰폭으로 감소한 이유는 계열사가 다른 기업을 인수하면서 전체 발행주식이 늘어나거나 계열사 간 인수합병으로 대주주 보유 지분율이 낮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삼성그룹의 이건희 회장이 보유한 계열사 평균 지분율은 지난해 2.24%였으나 올해 들어 2.22%로 낮아졌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지분율은 1년 전 1.89%에서 1.80%로 감소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보유한 지분율도 0.51%에서 0.48%로 줄었다.

GS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 한화그룹 등도 총수 및 총수일가의 지분율이 감소했다.

반면 재계 5위 롯데그룹의 신격호 총괄회장이 보유한 지분율은 차명보유 지분의 실명전환으로 크게 올랐다. 지난해 신 총괄회장의 지분율은 0.05%에 그쳤으나 올해 0.5%로 뛰었다.

조양호 회장이 보유한 지분율도 2.08%로 0.3%포인트 늘어났다.

40대그룹으로 범위를 넓히면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0.0005%),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0.0016%), 윤세영 태영그룹 회장(0.07%), 구본무 LG그룹 회장(0.07%) 순으로 계열사 보유 지분율이 낮다.

총수일가 전체의 보유 지분율을 보면 미래에셋그룹이 0.0017%로 40대 그룹 가운데 가장 낮다. 두산그룹 0.02%, LG그룹 0.20%, 현대중공업그룹 0.67%, 이랜드그룹 0.68%로 1%를 밑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

최신기사

IBK투자 "신세계푸드 단체급식 의존도 감소, 노브랜드 버거 확대"
비트코인 시세 올라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도 최고치, 보유자산 가치 상승
[여론조사꽃] 이재명 '3자 대결'서 과반, 이재명 52% 김문수 21% 이준석 5%
DS투자 "한온시스템 목표주가 하향, 조직 효율화 비용에 내년까지 수익 부진"
EU 의회 '배출가스 규제 완화' 안건 가결, 완성차 기업 벌금 리스크 덜어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돕는다, 친환경 전력 공급 지원
민주당 안도걸 "정부가 국채 추가 발행해 추경 재원 조달해도 시장 충격없어"
새 교황 레오 14세 "세계가 원하던 기후 챔피언" 평가, 프란치스코 전 교황과 공통점
MBK·영풍 "박기덕 고려아연 대표 재선임 반대, 검찰 조사에 이사회 입장내야"
김현종 트럼프 정부 당국자와 회동, "한미·한미일 협력 강화 이재명 입장 전달"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