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장과머니  부동산

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 67% 증가, 매매·전세가격 하방압력 높아져

류수재 기자 rsj111@businesspost.co.kr 2023-01-30 10:01:2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전년보다 67% 늘어나면서 주택가격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30일 부동산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수도권 1만5206세대, 비수도권 8602세대 등 모두 2만3808세대로 전망됐다.  
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 67% 증가, 매매·전세가격 하방압력 높아져
▲ 2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전년보다 67% 늘어난 2만3808세대로 수도권이 1만5206세대, 비수도권 8602세대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전세가격 하방압력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수도권은 98.4%, 비수도권은 30.2% 각각 늘어나는 셈이다. 

2월 수도권 입주물량은 서울, 경기, 인천 순서로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2월 서울 입주물량은 6303세대로 개포자이프레지던스(3375세대), 흑석리버파크(1772세대) 등 대규모 정비사업이 끝난 아파트에서 입주가 시작된다. 

경기는 5029세대가, 인천은 3874세대가 입주한다. 

비수도권에서는 대구(2148세대), 강원(1783세대), 전북(1706세대) 등에서 입주가 진행된다. 

신축 아파트 입주물량이 늘어남에 따라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동반 약세를 보일 우려가 높다고 직방은 바라봤다. 

올해 상반기를 놓고 봐도 입주물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적으로 올해 상반기 14만9469세대의 아파트가 입주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보다 37% 늘어나는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입주물량은 8만5452세대로 전년과 비교해 56% 늘어난다. 서울은 1만3523세대, 경기는 4만8611세대, 인천은 2만3318세대 등이다. 

비수도권에서는 대구 입주물량이 1만6257세대로 가장 많고 충남(8217세대), 부산(6745세대), 경남(5346세대) 등의 순서로 집계됐다. 

하반기에도 입주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공급과잉에 따른 집값 하락이 우려됐다. 

직방 관계자는 “최근 전셋값 하락세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입주물량 공급까지 겹쳐 새 아파트가 집중되는 서울, 대구, 인천 등은 매물적체와 전세수요 부족으로 전세가격 하락폭 확대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

최신기사

자동차보험 손해율 85% 넘기며 '가입 늘수록 적자', 보험료 5년 만 인상될까
현대엔지니어링 주우정 그룹 투자 확대에 반색, 수주 반등 리스크 관리 '단비'
실리콘투 멕시코 법인 내년 이륙, 김성운 가성비 K뷰티 앞세워 남미 공략 시동
SK증권 "영원무역 우려 대비 상황이 좋다, 스캇 적자 폭이 줄어든 게 큰 위안"
기후총회의 거듭된 '공허한 약속'에 대규모 시위 터져, "화석연료 퇴출에 뒷짐"
체코 "2050년에 원자력 비중 60%", 한수원과 계약에 '2기 추가' 옵션 주목
[여론조사꽃] 종묘 앞 초고층 건물 '반대' 76% '찬성' 17%, 서울도 '반대' ..
[여론조사꽃] 헌법존중 정부혁신 TF, '찬성' 71.4% vs '반대' 23.4%
[여론조사꽃] 이재명 지지율 69.3%로 1.5%p 상승, 중도층 긍정평가 74.0%
[여론조사꽃] 검사징계법 폐지 '공감' 71.4%, 보수층도 찬반의견 오차범위 안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