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서경배, 오너 기업인 가운데 지배력 가장 높아

이규연 기자 nuevacarta@businesspost.co.kr 2016-04-08 18:59:3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이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30개 회사의 오너 가운데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해 회사에 대한 지배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대신경제연구소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에 따르면 금융사와 공기업을 제외한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30개 회사 가운데 16위인 아모레퍼시픽그룹의 개인 대주주 지분율이 가장 높았다.

  서경배, 오너 기업인 가운데 지배력 가장 높아  
▲ 서경배 아모레퍼시픽그룹 회장.
서 회장은 아모레퍼시픽그룹의 개인 대주주로서 지분 55.7%를 보유하고 있다. 시가총액 4위인 계열사 아모레퍼시픽 지분도 10.72% 소유하고 있다.

이는 이건희 회장의 삼성전자 지분(3.38%), 정몽구 회장의 현대자동차 지분(5.17%), 최태원 회장의 SK 지분(23.4%), 구본무 회장의 LG 지분(11.28%) 등 다른 기업의 오너 지분율에 비하면 크게 높은 수준이다.

서 회장은 보유한 전체 주식가치 기준으로 따져도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에 이어 국내 ‘주식부자’ 오너 2위에 오른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해 현금배당금 325억 원 가운데 173억 원을 서 회장에게 배당하기도 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서 회장이 아모레퍼시픽 전체주식의 과반 이상을 보유하고 있어 사실상 기업의 정관까지도 바꿀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일반 주주들의 이익보다 대주주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3월 주주총회에서 감사위원으로 부적격하다는 지적을 받았던 인사들을 모두 선임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감사위원 3인 가운데 이옥섭 바이오랜드 부회장과 이우영 전 태평양제약 사장은 아모레퍼시픽그룹 내부에서 일해 독립성 문제로 지적을 받았다. 신동엽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서 회장의 대학교 동문으로 비슷한 시기에 학교를 다닌 것으로 알려졌다.

의결권 분석기관인 서스틴베스트는 지난해 3월 서 회장의 재선임 안건에 대해 지나친 겸임을 이유로 반대를 권고하기도 했다. 당시 서 회장은 아모레퍼시픽그룹 대표이사, 이니스프리·에뛰드 사내이사, 대한화장품협회 등기이사 등을 동시에 맡았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최신기사

민주당 3차 상법개정안 통과 연내 추진, "자사주 취득 1년 내 소각 의무화"
삼성디스플레이 부사장 8명 포함 23명 승진, "신성장동력 확보에 기여"
삼성SDI 2026년 임원인사, 부사장 3명 상무 5명 승진
삼성SDS 2026년 정기 임원 인사, 부사장 2명·상무 8명 승진
KB증권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이익 19조 전망, 범용메모리 가격 상승 수혜"
대신증권 "현대차 목표주가 상향, 신차 출시·관세 인하 등 내년 호재 충분"
SK하이닉스 마이크론에 HBM '전성기' 수혜 집중, 점유율과 기술력 선두 평가
SK그룹, SK하이닉스 HBM 판매 확대에 올해 수출 120조 원대 전망
삼성전자 부사장 51명 포함 총 161명 임원 승진, 지난해보다 승진자 늘어
LS증권 "파마리서치 미국 매출 우상향 전망, 스킨부스터 시장 구조적 성장"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