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이통3사 알뜰폰 점유율 50% 육박, 양정숙 "점유율 상한제 도입해야"

박혜린 기자 phl@businesspost.co.kr 2021-09-28 14:03:0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이동통신3사 자회사들이 알뜰폰시장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면서 점유율 상한제를 빨리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2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7월 말 기준 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들의 휴대폰시장 점유율이 46.6%에 이르렀다.
 
이통3사 알뜰폰 점유율 50% 육박, 양정숙 "점유율 상한제 도입해야"
▲ 양정숙 국회의원. <연합뉴스>

양정숙 의원은 “알뜰폰시장이 이통3사 자회사 위주로 재편되면서 당초 알뜰폰을 도입한 취지는 무색해지고 중소알뜰폰사업자는 고사 위기에 처해있다”며 “이런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이통3사 자회사들의 시장 점유율을 50%로 규제하는 내용을 담은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말했다.

양 의원은 “이통3사 자회사들이 자금력을 앞세워 이익이 남는 휴대폰부문 가입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며 “이통3사 자회사는 중소 알뜰폰사업자와 달리 모회사의 지원을 받으면서 전파사용료 감면, 망 이용대가 지원 같은 업계 혜택도 똑같이 누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전체 알뜰폰 가입자는 2019년 말 775만 명에서 2020년 911만 명으로 17.5% 늘어났다. 2021년 7월 말 기준 가입자 수는 981만 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통3사의 알뜰폰 자회사의 가입자를 살펴보면 가입자당 수익이 높은 휴대폰 회선 가입자가 2019년 254만 명에서 2021년 7월 281만 명으로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중소알뜰폰사업자의 휴대폰 회선 가입자는 432만 명에서 322만 명으로 오히려 110만 명 줄어들었다.

알뜰폰시장 점유율을 살펴봐도 이통3사 자회사의 성장이 뚜렷했다.

2019년 이통3사 자회사의 알뜰폰시장 합산점유율은 37%였는데 2021년 7월에는 46.6%로 약 10%포인트 높아졌다.

KT가 자회사 KT파워텔을 매각하지 않았다면 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의 합산점유율은 49.5%에 이르렀을 것으로 파악됐다.

매출 기준으로도 이통3사 알뜰폰 자회사들의 합산 매출은 2016년 5096억 원에서 2019년 6048억 원으로 18.6% 늘어났다. 중소 알뜰폰사업자 매출은 2016년 3230억 원에서 2019년 3238억 원으로 0.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

최신기사

[오늘의 주목주] '상법개정 기대' 현대모비스 5%대 상승, 코스닥 디앤디파마텍 11%..
토스뱅크 흑자 굳히고 사회공헌도 확대, 이은미 '성장과 포용' 투트랙 경영 순항
포스코퓨처엠·에코프로비엠 차세대 LMR 양극재 선점 경쟁 '킥오프', LG엔솔 공급 두..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은평·서대문·마포 중심 3주만에 반등, 공급 우위 흐름 지속
정부 '세수부족'에도 728조 슈퍼예산 편성, "씨앗 빌려서라도 농사 지어야"
거들떠보지 않던 '후방 OEM'에서 '핵심 파트너사'로, 펌텍코리아 K뷰티 패키징 선도
SK텔레콤 국내 최대 AI 데이터센터 첫 삽, 유영상 해킹 악재에도 AI 미래투자 강화
'월가의 토큰' 부상하는 이더리움, 단기 랠리인가 장기 강세의 서막인가
구광모 LG그룹 '리밸런싱' 본격화, 비핵심자산 매각·인력 구조조정으로 침체기 극복 추진
SK텔레콤·SK에코플랜트, 아마존웹서비스·울산과 함께 AI 데이터센터 착공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