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후대응
Who Is?
기업·산업
금융
시장·머니
시민·경제
정치·사회
인사이트
JOB+
최신뉴스
검색
검색
닫기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대형건설현장 사망자 90%는 하청노동자, 안경덕 "원청 책임 중요"
류수재 기자 rsj111@businesspost.co.kr
2021-08-26 11:43:28
확대
축소
공유하기
건설현장 규모가 클 수록 하청노동자의 사망비율이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용노동부가 26일 발표한 건설업 산재 사망사고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지난 3년 동안 국내 건설현장 산재사고 사망자 가운데 하청노동자는 55.8%로 절반을 넘었다.
▲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
이번 조사는 3년 동안 발생한 983건의 재해 조사 의견서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이 재해들로 인해 1016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건설현장 규모별로 보면 120억 원 이상 규모의 건설현장의 사고 사망자 가운데 하청노동자의 비율이 89.6%에 이르렀다.
반면 원청노동자는 10.4%에 불과했다. 큰 건설현장일수록 위험의 외주화 사례가 많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3억∼120억 원 규모의 건설현장 사고 사망자 가운데 하청노동자는 58.6%로 나타났다. 3억 원 미만 건설현장에서는 이 비율이 17.5%로 떨어졌다.
산재 사망사고 원인으로 안전시설물 불량 31.4%, 작업계획 불량 20.2%, 보호구 미착용 15.1%, 관리체계 미흡 14.9%, 작업방법 불량 12.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안전 시설물 불량과 보호구 미착용 등 기본적 안전수칙 위반에 따른 사고가 절반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은 대형건설 현장에서 하청노동자 사망비율이 높은 점을 두고 “산재 예방능력을 갖춘 협력사를 선정하고 적정한 공사비용과 기간을 통해 안전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원청으로서 책임과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수재 기자]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류수재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씨저널
C
스토리
류진 풍산 승계 어떻게 하나, 아들 한국 국적 포기해 방산업체 소유와 경영 장벽 높아
게임업계 '싱글 대작' 출사표 이어지는데 카카오게임즈 신작 방점은 여전히 '온라인', 한상우 실적개선 위한 차별화 전략은
풍산 신소재 개발과 방산 생산량 증대 집중, 전문경영인 박우동·손신명·황세영·서정국 역할 분담
많이 본 기사
1
메모리반도체 공급난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협상력 커져, 중국 역할은 '역부족' 평가
2
테슬라 한국에 레벨2 자율주행 공습 시작, 2년 뒤 출시 현대차 '발등에 불'
3
에코프로, 인도네시아 투자와 양극재 라인 고도화 가속해 실적 개선 노려
4
iM증권 "SK바이오팜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 내년에도 성장세 이어갈 것"
5
'한일령'에 K뷰티 훈풍 분다, 중화권 실적 미미한 에이피알 '기회의 문' 열리나
Who Is?
이영신 씨어스테크놀로지 대표이사
환자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 보험수가 획득에 실적 급등, 글로벌 진출 본격화 [2025년]
박효상 KBI그룹 회장
그룹 총수 맡아 매출 3조 원 달성, 라온·상상인저축 인수 금융업 재진출 [2025년]
박진영 JYP엔터테인먼트 창의성총괄책임자
K팝 세계화 기여 가수 겸 제작자, 새정부 대중문화교류위원장 맡아 [2025년]
윤호영 큐리오시스 대표이사
국내 바이오 장비 경쟁력 강화 관심, 실험실자동화 글로벌 공략 주력 [2025년]
최신기사
"비트코인 시세 적정가는 5만3천 달러" 분석, 투자자 저가 매수에 경고장
현대차-아마존 제휴 고가 제품 구매 부담 덜어줘, "신규 고객 유치에 유리"
미래에셋증권 "넷마블 앱 수수료 인하 최대 수혜주, 내년 순이익 79% 증가"
로이터 "인도 수입 철강에 관세연장 검토", 수출 1위 한국도 영향권
구글 메타 AI반도체 협력에 브로드컴 수혜, 미즈호 "엔비디아 위협엔 한계"
세계환경기금 고상우 작가와 '2026 캘린더' 캠페인, 수익은 멸종위기종 보호에
대만 행정원장, 반도체 관세 관련 '한-대만 협력' 두고 "아는 바 없다"
LS 'LS전선 유상증자' 배정물량 전량 청약 결정, 1500억 투입
KB증권 "삼성전자,구글 AI칩 'TPU' 생태계 확장에 최대 수혜 전망"
정부 2027년 완전자율주행차 상용화 목표, 실증도시 조성
댓글 (1)
등록
-
200자
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ㅈㄷㅇ
부.울.경 재해예방전문기관들은 협의체회의가 있어서 관급현장은 담합을 하고 자기들 시공사.거래처.건설회사는 인정해주고 서로.건들지못하는 희안한 일들이 벌어지고있다!그리고 근로감독관들도 재해예방기관들 사장들이랑 친해서 감사도 형식적으로 하고 다 봐주고 한단다!제발 감사 제대로해서 깨끗한 사회 좀 만들자
(2021-08-30 01:37:50)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