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이 최대 고객사 애플의 스마트폰 카메라 강화기조에 힘입어 실적 개선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13일 모바일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하반기 나올 아이폰13(가칭) 시리즈에서 전작인 아이폰12 시리즈와 비교해 카메라 성능을 강화한다.
 
![애플 하반기 아이폰13 카메라 더 강해진다, LG이노텍 수혜도 더 커져]() 
 
먼저 센서시프트(흔들림 보정)기능을 탑재한 모델이 확대된다. 센서시프트는 사용자가 손을 떨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지난해 10월 출시된 아이폰12 시리즈를 보면 센서시프트기능은 가장 비싼 모델인 아이폰12프로맥스에만 적용됐다.
하지만 아이폰13부터는 센서시프트 채택 모델이 3개로 늘어나 더 많은 사람이 흔들림 없는 촬영경험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LG이노텍의 수혜로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LG이노텍은 애플의 카메라모듈 주요 공급사 중 하나로 특히 트리플카메라 등 고부가부품 위주로 공급하고 있다. 아이폰13의 카메라기능이 개선되면 LG이노텍이 납품하는 부품의 부가가치 역시 높아질 공산이 크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LG이노텍 광학솔루션부문(카메라)은 센서시프트 트리플카메라 중심의 지속적 사양 진화를 바탕으로 올해도 큰 폭의 매출 증가가 가능할 것이다”고 바라봤다.
애플이 아이폰13의 증강현실(AR) 기능을 확대하는 데도 LG이노텍이 힘을 보탠다.
애플은 아이폰12 일부 모델에만 채용됐던 ‘라이다(LiDAR) 스캐너’를 아이폰13에서 모든 모델에 적용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라이다는 물체에 빛을 쏴 돌아오는 시간으로 거리를 계산하는 3차원 인식(3D센싱)기술을 말한다. LG이노텍은 라이다 구현에 필요한 비행시간 거리측정(ToF)모듈을 애플에 공급하고 있다.
라이다 스캐너를 탑재한 아이폰은 카메라에 찍힌 영상의 심도를 파악해 증강현실 이미지를 덧씌울 수 있다. 사진과 영상을 더 입체적으로 촬영하는 일도 가능하다.
LG이노텍은 이런 아이폰13용 고성능 카메라 수요에 대응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광학솔루션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5478억 원(자기자본 대비 24.9%) 규모의 시설투자를 집행계획을 2월 내놓기도 했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를 두고 “지난해 투자가 약 4700억 원이었던 것에 비해 투자규모가 증가했다”며 “해외 스마트폰 고객사의 카메라 수요 증가, 센서시프트 채택 물량 증가, 3D센싱기능 강화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애플 하반기 아이폰13 카메라 더 강해진다, LG이노텍 수혜도 더 커져]() 
 | ▲ 아이폰12프로의 증강현실 기능 예시. <애플> | 
 
시장에서는 아이폰13 시리즈의 판매량 자체도 아이폰12 시리즈보다 더 많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점점 더 약해지고 있고 애플 스마트폰에 관한 잠재적 수요도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고의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애플은 아이폰13 시리즈의 수요를 전작보다 강하게 전망하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이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정상화, 아이폰8/X~아이폰XS/XR 시리즈 사용자들의 교체주기가 다가오는 점 등에 근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LG이노텍이 최근 아이폰12 시리즈 기반의 실적 증가를 아이폰13 시리즈를 통해서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다.
시장 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에 따르면 1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스마트폰 10개 모델 가운데 6개는 애플 아이폰이었다. 이 중 아이폰12 시리즈 4개 모델이 세계 전체 판매량의 16%를 차지했다. 
LG이노텍은 아이폰12 시리즈 판매 호조에 따라 올해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수준의 실적을 낸 것으로 추산된다. 
하나금융투자는 LG이노텍이 1분기 매출 3조1370억 원, 영업이익 3117억 원을 거둔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62.9%, 영업이익은 91.6% 늘어나는 것이다.
애플은 LG이노텍 매출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초대형 고객사다. 애플이 아이폰 판매를 확대할수록 LG이노텍이 차지하는 몫도 많아진다고 볼 수 있다.
LG이노텍 2020년 감사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전체 매출에서 애플(주요고객 A) 비중이 67.7%(6조4618억 원)에 이르렀다. 2019년 64.3%와 비교해 소폭 확대됐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