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재벌 회장 연봉은 얼마일까

최용혁 기자 yongayonga@businesspost.co.kr 2014-03-31 19:09:1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임원 연봉공개 마지막 날인 31일 주요 그룹 오너들의 연봉이 일제히 공개됐다.

  재벌 회장 연봉은 얼마일까  
▲ 최태원 SK그룹 회장
오너 가운데 지난해 최고 연봉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었다. 모두 301억6000만 원을 받았다. 최 회장은 SK와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C&C의 등기이사로 재직하면서 각각 87억 원, 112억5천만 원, 22억 원, 80억100만 원을 받았다.

그러나 최 회장은 올해 보수를 아예 받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SK그룹 측은 전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은 모비스 42억 원, 현대차 56억 원, 현대제철 42억 원을 받아 총 연봉 140억 원을 기록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도 한화와 한화케미칼을 비롯해 한화갤러리아, 한화건설, 한화L&C 등에서 각각 22억5200만 원, 26억 원, 15억 원, 52억5200만 원, 15억200만 원을 각각 수령해 모두 131억600만 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지난해 연봉으로 43억8천만 원을 받았다. 구 회장은 급여 32억2천만 원, 상여 11억6천만 원을 각각 받았다.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은 급여 13억5500만 원과 성과급 10억4300만 원을 합산해 총 23억9900만 원을 받았다.

또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은 57억7300만 원, 구자준 전 LIG보험 회장은 54억2500만 원,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은 53억9100만 원, 최신원 SKC 회장 52억 원, 류진 풍산그룹 회장은 49억500만 원 등을 각각 받았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롯데쇼핑에서 받은 급여 10억 원, 상여 5억5천만 원 등 15억5천만 원을 포함해 롯데제과와 롯데케미칼 연봉을 포함해 총 44억4100만 원을 수령했다. 신 회장의 부친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은 지난해 연봉으로 총 33억5천만 원을 수령했다. 신격호 회장은 코리아세븐과 롯데알미늄의 등기이사로 올라있지만 기준액(5억 원)보다 적어 이곳의 연봉은 공개되지 않았다.

허동수 GS칼텍스 전 회장은 101억 원을 받았는데, 기본급과 상여금을 합쳐 14억2100만 원에 퇴직금으로 87억900만 원을 수령했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CJ주식회사와 CJ제일제당, CJ오쇼핑, CJ CGV 등 4개 계열사로부터 모두 47억5400만 원을 보수로 받았다. 이 회장은 급여로 30억7800만 원, 퇴직금으로 18억2200만 원을 각각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은 동부메탈과 동부제철에서 각각 13억2천만 원과 9억9천만 원을 연봉으로 받았다.

이밖에도 함영준 오뚜기 회장은 14억9400만 원, 조현범 한국타이어 사장 7억 원, 임창욱 대상홀딩스 회장은 7억7천만 원, 신춘호 농심 회장은 8억2076만 원, 신동원 농심 부회장은 5억3449만 원씩 각각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웃도어 브랜드 ‘네파’로 유명한 평안엘앤씨의 김형섭 전 부회장은 200억 원을 받아 눈길을 끌었다. 김 전 부회장은 퇴직금 85억3600만 원, 급여 27억7600만 원을 포함해 201억9천만 원을 받았다.

박근혜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EG회장은 연봉으로 6억7천만 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신기사

DL이앤씨 연말 수익성 눈높이 낮아져, 박상신 주택사업 '맑음' 플랜트 '흐림' 숙제 뚜렷
LG헬로비전 노사 본사 이전 두고 갈등 격화, 올해 임금협상 최대 변수 부각
SK디스커버리 높아지는 SK가스 의존도, 최창원 빠듯한 살림 속 주주환원 딜레마
"'롤' 보다가 알았다", e스포츠로 잘파세대 공략 나서는 금융사들
글로벌시장 누비고 국내투자 늘리는 총수들, 대기업 그룹주 ETF 한번 담아볼까
'아이온2' 출시에도 엔씨소프트 주가 흐림, 새벽 대기 3만 명이 남긴 기대감
18년 만의 제헌절 공휴일 복귀 급물살, '반헌법 윤석열'이 한 몫 했다
효성그룹 주력 계열사 호실적에 배당 늘어난다, 조현준 상속세 재원 마련 '청신호'
데워야 하나 vs 그냥 먹어야 하나, 누리꾼 만 명이 벌인 편의점 삼각김밥 논쟁
미국·일본 '원전사고 트라우마' 극복 시도, 러시아·중국 맞서 원전 경쟁력 키운다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