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선거후보가 재산의 4분의 3을 금융자산으로 보유했다.
모든 금융자산은 예금 형태로 존재하는데 배우자의 신한은행 예금만 50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국민의힘 대선후보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94572'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윤석열</a> 금융자산은? 김건희 신한은행 예금만 50억]() 
 
8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에 따르면 
윤석열 후보는 3월 검찰총장 퇴임 당시 71억6900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는데 이 가운데 74.6%인 53억5100만 원이 본인과 배우자 명의의 예금이었다.
특히 예금 대부분은 배우자 김건희 코바나컨텐츠 대표 명의였다. 김 대표는 신한은행에 49억3300만 원, 우리은행에 1억7300만 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대표의 신한은행 예금은 부부 전체 재산의 68.8%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컸다.
윤 후보는 하나은행에 1억2천만 원, 신한은행에 1억1800만 원으로 비슷한 금액을 넣어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밖에 삼성생명 보험도 600만 원 규모로 보유했다.
윤 후보의 금융자산 항목은 서울중앙지방검찰청장으로 첫 재산공개대상에 포함됐던 2018년 이후 변화가 없다. 자산가액 역시 2억4500만 원으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그러나 김 대표의 금융자산은 많은 변동이 있었다. 유가증권과 채권·채무 등을 모두 정리하고 예금만 남겼다.
김 대표는 2018년 첫 재산공개 때 엔에스엔 상장주식 3450주(2천만 원), 도이치파이낸셜 비상장주식 40만 주(2억 원)를 전량 매각했다고 신고했다. 사인간채권 20억 원은 회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대표는 도이치파이낸셜이 설립될 때 2억 원어치 주식을 배정받았고 2017년 1월에는 도이치파이낸셜 전환사채를 20억 원어치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가 서울중앙지검장에 임명된 직후 전환사채 매입계약을 취소하고 주식도 액면가 그대로 다시 판 것이다.
김 대표는 도이치파이낸셜 모회사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가 2020년 4월 김 대표를 검찰에 고발해 권오수 도이치모터스 회장 소환조사, 도이치모터스 본사 압수수색 등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
김 대표가 SC제일은행에서 빌린 2억5천만 원과 가락동 건물 임대보증금 2억3천만 원 등 채무 4억8천만 원은 2019년 재산공개 때 아파트 매각대금 등으로 상환했다고 신고했다.
윤 후보가 검찰총장에 오른 뒤 김 대표는 각종 증권·소액 계좌들을 없앴다. 
NH투자증권·NH농협은행·대신증권·메리츠증권·미래에셋대우·삼성증권·SC제일은행·토러스투자증권·한화투자증권 등에 1천 원에서 최대 78만 원을 넣어두고 있었는데 2020년 재산신고 때 잔액이 모두 0원이 됐다.
김 대표는 IBK기업은행 계좌에 보유한 20억 원은 신한은행 계좌로 이동했다. 이후 신한은행 예금액이 50억 원 가까이 유지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