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위원회 관계자는 “현재 일정상 24일로 지역균형발전회의가 잡혀 있지만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며 “어떤 사업의 예비 타당성조사가 면제될지 현재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정부가 2018년 말부터 속도를 내고 있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 가운데 B노선의 예비 타당성조사 면제의 가능성을 놓고 여러 이야기가 나온다.
B노선은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서울 여의도와 용산, 서울역, 청량리를 거쳐 경기 남양주 마석을 연결하는 80km 구간으로 사업비는 5조9천억 원에 이른다.
예비 타당성조사는 국가가 국고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할 때 반드시 거쳐하는 절차인데 B노선은 2014년 비용편익(BC) 분석값이 1을 넘지 않아 예비 타당성조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B노선은 정부가 2018년 12월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확대를 위해 예비 타당성조사 완화 계획을 밝히고 3기 신도시 계획에 B노선이 지나는 경기 남양주 왕숙지구가 포함되면서 예비 타당성조사 면제 기대감이 커졌다. 당시 예비 타당성조사 면제가 확정됐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비수도권 위주로 예비 타당성조사 면제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분위기가 바뀌었다.
문 대통령은 10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수도권사업은 예비 타당성조사가 쉽게 통과되는 반면 지역사업은 인구가 적어 예비 타당성조사를 통과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며 “이런 부분을 해소하고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강구한 방식이 예비 타당성조사 면제”라고 말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15일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가 예비 타당성조사 면제를 추진하는 사업들을 살펴보면 아무래도 인적·물적 기반이 미흡해 비용편익 분석값이 나오기 어려운 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것 같다”고 바뀐 분위기를 전했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15일 수도권사업이 예비 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에서 제외됐다는 언론 보도에 해명자료를 내고 “수도권의 질적 발전을 포함한 전국 17개 시도의 균형 잡힌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수도권의 경쟁력 강화와 도시생활 인프라 확충 등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