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의 청년실업률이 경제협력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청년층(15∼24세) 실업률은 올해 4월 기준 11.2%로 지난해 말(8.7%)보다 2.5%포인트 높아졌다.
|
![한국 청년실업률 상승폭, 올해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아]() |
|
▲ '취업박림회'을 찾은 구직자들의 모습. <뉴시스> |
같은 기간에 OECD 회원국 가운데 청년실업률이 높아진 나라는 오스트리아와 이스라엘, 독일, 일본, 한국 등 5개 국가였다.
청년실업률 상승폭을 살펴보면 오스트리아 0.3%포인트, 이스라엘 0.3%포인트, 독일 0.2%포인트, 일본 0.2%포인트로 한국의 청년실업률 상승폭이 가장 컸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청년실업률은 지난해 말 12.6%에서 올해 4월 12.1%로 0.5%포인트 개선됐다.
청년실업률뿐 아니라 전체 실업률도 한국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했다.
한국의 실업률은 올해 4월 기준 4.0%로 집계됐는데 지난해 12월(3.5%)보다 0.5%포인트 높아졌다.
OECD 회원국 가운데 전체 실업률이 상승한 국가는 한국 외에 핀란드(0.3%포인트)와 이스라엘(0.1%포인트) 등 2개국뿐이었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실업률은 지난해 말 6.2%에서 올해 4월 5.9%로 0.3%포인트 개선됐다.
문재인 정부는 5일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11조2천억 원 규모의 추경안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고 국회에 제출했다.
정부는 추경을 집행해 공공부문 일자리 7만1천 개, 민간 일자리 3만9천 개 등 11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