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소비자·유통

KB증권 "한샘 어쩔 수가 없다, 29.5% 수준의 자사주 소각 여부가 변수"

장원수 기자 jang7445@businesspost.co.kr 2025-09-29 16:22:2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한샘의 매출 변화에 따른 믹스변화와 원가율 안정화, 그에 따른 배당정책 연결이 중요하다.

KB증권은 29일 한샘에 대해 투자의견 ‘Hold’, 목표주가 5만 원을 유지했다. 목표주가는 12개월 선행 기준 주가순자산비율(P/B) 2.8배, 주가수익비율(P/E)은 30배 수준이다. 직전거래일 26일 기준 주가는 4만4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KB증권 "한샘 어쩔 수가 없다, 29.5% 수준의 자사주 소각 여부가 변수"
▲ 한샘의 2026년 매출액은 1조8430억 원, 영업이익은 380억 원으로 추정된다. <한샘>

30%에 육박하는 자사주 소각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위축된 소비심리, 주택경기 침체 등 복합적인 불확실성을 감안하면 본업 측면에서는 단기적인 주가 상승 모멘텀이 뚜렷하지 않다.

향후 단품 리모델링 시장에서의 경쟁력 회복이 가능하다면 구조적 원가율 개선 → 중기적 이익 성장 → 배당 지속성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장문준 KB증권 연구원은 “긴 호흡으로 회사의 변화를 지켜봐야만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샘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0.8% 줄어든 4503억 원, 영업이익은 27.9% 감소한 53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외형 측면에서 특별히 긍정적인 요소는 두드러지지 않으나 원가 안정화 추세가 긍정적이다.

위축된 소비심리, 주택경기 침체 등을 감안하면 과거 주가상승기의 주요 동력이었던 외형과 이익의 동반 성장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제한된 외형성장 안에서 수익성 높은 리모델링 단품(부엌, 화장실)에 대한 집중으로 매출 믹스가 변화하면서 원가율의 의미 있는 회복이 가능한지가 중요하다.

향후 이익 안정과 예측성 있는 배당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면 주가 흐름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장문준 연구원은 “너무나 어려운 시장환경을 감안하면 본업 측면에서 주가 모멘텀을 단기에 찾기 쉽지 않아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본업 외적으로 본다면 29.5% 수준의 자사주 소각 여부가 주가 움직임의 첫 번째 변곡점을 가져다 줄 수 있다”며 “자사주 의무 소각을 포함한 상법 3차 개정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샘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6% 줄어든 1조8390억 원, 영업이익은 25.8% 감소한 230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

최신기사

신한투자 "한올바이오파마 임상 속도가 올해가 끝, 연말부터 줄줄이"
국회 정무위, SK 최태원·MBK 김병주·KT 김영섭·롯데카드 조좌진 국감 증인 채택
[29일 오!정말] 오세훈 "추석 연휴 동안 운행을 못하는 게 아쉽고 안타깝다"
3년 전 '깜짝' 발탁 신한금융 진옥동 연임은 예상대로? '포용 리더십'에 힘 실릴까
신한투자 해외 거점 5곳 중 2곳 정리, 이선훈 임기 첫해 '선택과 집중'으로 수익성 ..
우리금융 생산적 금융 대전환에 CEO 총출동, 임종룡 '80조 프로젝트' 진두지휘
다올투자 "에이피알 아마존 판매 호조, 블랙프라이데이 기대"
비트코인 1억5943만 원대 상승, "랠리 아직 끝나지 않았다" 분석 나와
대통령실 강유정·김남준 '2인 대변인' 체제, 정무기획비서관 신설
독일 국제 기후재원 기여 규모 대폭 확대, 118억 유로로 역대 최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