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건설

상장건설사 작년 말 평균 부채비율 203%로 66%p 뛰어, 태영건설 금호건설 HJ중공업 순

박창욱 기자 cup@businesspost.co.kr 2025-06-18 16:29:4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주식시장에 상장된 건설업체의 2024년말 기준 부채 비율이 평균 200%를 넘어서며 전년보다 70%포인트 가까이 뛴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상장 건설업체 34곳의 전자공시시스템(DART) 자료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건설업체의 평균 부채비율은 203%로 조사됐다. 이는 2023년 137%에 비해 66%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상장건설사 작년 말 평균 부채비율 203%로 66%p 뛰어, 태영건설 금호건설 HJ중공업 순
▲ 상장 건설사의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이 203%로 전년말 보다 66%p나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태영건설 금호건설 HJ중공업 일성건설 코오롱글로벌 등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별 부채비율을 살펴보면 2023년 말 워크아웃을 신청한 태영건설이 720%로 가장 높았고 금호건설(589%), HJ중공업(542%), 일성건설(454%) 코오롱글로벌(356%) SGCE&C(310%)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밖에 동부건설(265%), HL D&I(259%), GS건설(250%), 남광토건(248%), 계룡건설산업(221%) 등도 부채비율이 상장건설사 평균을 상회했다. 2022년 기준 국내 전체 상장사의 부채비율은 79.9%에 달한다.

건설업체의 수익성도 매년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줄고 있다. 공사비 상승에 따라 매출원가가 높아지면서 수익성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분양경기가 바닥이었던 2022년보다 오히려 나빠졌다.

상장 건설사의 매출 추이를 보면 2022년 147조8088억 원으로 바닥을 찍은 뒤 2023년 164조8593억 원으로 11% 넘게 늘었고 2024년도에도 162조751억원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2022년 7조9063억 원에서 2023년 6조7242억 원으로 줄었고 2024년에는 4조6182억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이는 매출원가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24년의 매출원가율은 92.09%로 전년(90.99%)보다 1.1%포인트 올랐다.

건설업 침체와 공사비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10대 건설사의 올해 상반기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이 20조원을 넘어섰지만 지방건설 경기 악화로 중견 건설사들은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5월 시공능력평가 111위의 광주지역 영무토건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것을 비롯해 올해 들어 법정관리를 신청한 중견 건설사만 신동아건설 대저건설 삼부토건 등 11개사에 이른다. 박창욱 기자

최신기사

SK 최태원 "한국-일본 EU처럼 경제공동체 필요, 세계 4위 경제권 가능"
사라진 부산 백화점 삼국지, 독주 신세계·몸집 줄이는 롯데·권토중래하는 현대百
iM증권 "동아쏘시오홀딩스 이뮬도사 미국 판매 본격화, 로열티 수익 증가"
전기차와 AI가 원자력 발전 시장 키운다, BofA "10조 달러로 성장" 전망
코스피 외국인·기관 매수세에 3460선 상승 마감, 장중 사상 최고치 경신
미래에셋증권 "넷마블 뱀피르 추정치 상향, 사지 않을 이유가 없다"
[현장] '캐피털 위기' 돌파구는 포용금융에? "소상공인 팩토링, 공급망 금융 주목하라"
케데헌 돌풍 K게임에도 번질까, 넥슨·위메이드 '한국 전통 IP' 승부수 걸다
법사위 여야 충돌, 국힘 '민주당 공작' 유인물에 추미애 "윤석열 오빠에 도움되나"
비트코인 1억5938만 원대 하락, 10월 반등 가능성 두고 전문가 전망 엇갈려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