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11월 생산자물가지수 또 상승, 소비자물가도 오를 듯

이규연 기자 nuevacarta@businesspost.co.kr 2016-12-20 11:49:1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생산자물가지수가 4개월 연속으로 오르면서 소비자물가도 앞으로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6년 11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치)는 99.90으로 10월 99.52보다 0.4% 올랐다.

  11월 생산자물가지수 또 상승, 소비자물가도 오를 듯  
▲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6년 11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11월 생산자물가지수(잠정치)는 99.90으로 10월보다 0.4% 올랐다. 사진은 한 농산물 판매행사의 모습. <뉴시스>
1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해 9월 100.33 이후 14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달과 비교한 상승폭 0.4%는 2013년 2월 0.7% 이후 45개월 만에 최대 수준으로 집계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8월부터 4개월 연속으로 전달보다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도 0.7% 증가해 2014년 7월 0.2% 이후 28개월 만에 전년 대비 상승세로 바뀌었다.

생산자물가지수의 등락률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농산물 –4.9%, 축산물 –3.0%, 수산물 5.9% 등이다. 수산물의 경우 조기(56%)와 냉동오징어(24%) 가격이 상승을 견인했다.

공산품은 지난달보다 0.7% 올랐는데 세부적인 품목을 살펴보면 음식료품 0.2%, 석탄과 석유제품 0.4%, 1차 금속제품 1.9%, 전기와 전자기기 1.7% 등이다.

전력·가스·수도는 도시가스 요금인상의 영향으로 지난달보다 1.9% 상승했다.

서비스요금은 지난달과 같았는데 세부적인 품목을 보면 사업서비스 0.1, 금융과 보험 –0.5% 등이다. 다른 품목들을 살펴보면 식료품 –1.2%, 신선식품 –4.9%, 에너지 1.5%, IT 1.1% 등이다.

생산자물가지수가 오르면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도 오르는 경향이 있어 소비자물가의 상승세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가공단계별로 분류해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11월 기준으로 95.36을 기록해 10월보다 1.5% 상승했다.

수출품을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는 96.43으로 10월보다 1.3% 올랐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

최신기사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 후보에 오화경 정진수 등록, 모두 업계 출신으로 관료 없어
유뱅크 컨소시엄 '제4인터넷뱅크' 신청 연기, "하반기 예비인가 신청 추진"
상상인증권 "현대백화점, 지누스 턴어라운드에 백화점과 면세점 본업 개선"
'미국 조류독감 리스크' GC녹십자 mRNA 독감 백신 어디까지 왔나?
맘스터치 해외 출점 '공격적', 기업가치 끌어올려 '성공 엑시트' 노린다
코스피 기관·외국인 쌍끌이 매수세에 2610선 회복, 코스닥도 740선 상승
엔비디아 지난해 세계 반도체 설계 시장 50% 차지, 매출 125% 급성장
[현장] "홈플러스가 사기채권 발행했다", 국회 찾은 '유동화 전단채' 피해자들의 눈물..
[단독] 삼성바이오로직스 역대 최대 실적에 노조 6.7% 인상 요구, 회사 250만 원..
상상인증권 "신세계, 어려울 때일수록 몸집은 가볍게"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